
정부가 위메프 사태에 유동성을 투입한다.
정부는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태스크포스 2차 회의를 열고 위메프·티몬 사태에 5600억원의 유동성을 즉시 투입하기로 한 내용을 담은 ‘위메프·티몬 사태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회의에는 기재부를 비롯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당국자들이 참석했다.
우선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판매대금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한 긴급경영안정자금 2000억원,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협약프로그램으로 최소 3000억원의 유동성을 각각 지원하기로 했다. 여행사 이차보전(이자차액 보상)에도 600억원(대출규모) 한도로 지원한다.
이와 함께 피해기업의 대출·보증 만기를 최대 1년 연장하고, 종합소득세·부가가치세 납부기한을 최대 9개월 연장하는 세정지원도 진행한다.
소비자 피해 대책에 관해서는 여행사·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와의 협조를 통해 신속한 환불 처리를 지원하고, 이미 구매한 상품권에 대해선 소비자가 정상적으로 사용하거나 환불받을 수 있도록 사용처 및 발행사의 협조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피해구제를 위해 금융감독원과 소비자원의 민원접수 전담창구를 운영하고, 내달 1~9일 소비자원을 통해 여행·숙박·항공권 피해소비자의 집단분쟁조정 신청을 접수한다.
현재까지 업체로부터 파악된 미정산 금액은 약 2100억원으로 추산되지만, 향후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거래분까지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커질 것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김범석 차관은 “이번 사태의 최종적인 책임은 약속한 판매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위메프·티몬에 있다”면서 “정부로서는 선량한 소비자와 판매자가 입은 피해를 지켜볼 수 없기에 가용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공정위를 중심으로 합동점검반을 운영해 전자상거래법 등의 위법 사항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관련 법령 전반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거쳐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티메프사태] 국회 정무위, 30일 긴급현안질의 연다
- [티메프사태] 구영배 큐텐 대표 "지분 매각 또는 담보로 사태 수습"
- [티메프사태] 소비자원, 티몬·위메프 피해 고객 모집
- 종합물류기업 KCTC 주가 폭등랠리..."탱큐! 위메프와 티몬 정산 지연 사태"
- [티메프사태] 카드업계 “결제 승인 취소, 신속 응대”
- [티메프사태] 신한은행, 티몬·위메프 소상공인 대상 비금융지원 제공
- [티메프사태] KB국민은행, 위메프·티몬 피해 소상공인 대출연장
- [티메프사태] 여행자·자영업자 '분통'
- [티메프사태] 금감원 “PG사에서 카드 결제 취소 진행 가능”
- [티메프사태]모기업 큐텐, 유동성 확보 가능할까
- [티메프사태] 구영배·류광진·류화현 '큐텐 3인방', 오늘 국회 현안 질의 참석
- [티메프사태] 판매자 피해액 1조원 넘나…6만곳 줄도산 우려
- [티메프사태] 이복현 “큐텐 자금추적 중 강한 불법 흔적… 검찰 수사 의뢰”
- 윤 대통령 “티메프 사태, 시장 교란 반칙 행위... 법에 따라 철저히 조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