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최소 5600억 유동성 즉시 투입
구영배 큐텐 대표 "지분 매각·담보로 활용"
그룹 차원서 펀딩, M&A도 추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티몬·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구영배 큐텐 대표가 큐텐 지분 전체를 매각하거나 담보로 사태 수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모기업인 큐텐이 충분한 유동성 확보에 성공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는 현재 유동성이 꽉 막혀 있다. 사실상 독자 생존이 어렵다는 얘기다.

티몬이 지난해 4월 공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티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80억원에 불과하다. 현금화가 가능한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액은 197억원대다. 이로써 총 합산액은 277억원에 그친다.

티몬이 최근 수년간 꾸준히 1000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현금성 자산은 더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위메프도 지난해 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71억원,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액이 245억원을 기록했다. 가용할 수 있는 현금은 316억원 남짓이다.

양사의 현금동원력을 합해도 593억원에 불과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두 회사가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총 미정산액(1600억∼1700억원)의 3분의 1 남짓이다.

이런 상황에서 모기업인 큐텐도 영업적자를 내고 있다. 큐텐은 2019∼2021년 1000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번 정산 지연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선 외부 자금 수혈이 급선무로 보인다.

우선 정부는 이날 '위메프·티몬 사태 대응방안'을 발표하며 최소 5600억원의 유동성을 즉시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소비자 피해와 관련해선, 여행사·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와의 협조를 통해 신속한 환불 처리를 지원하고, 이미 구매한 상품권에 대해선 소비자가 정상적으로 사용하거나 환불받을 수 있도록 사용처 및 발행사의 협조를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업체로부터 파악된 미정산 금액은 약 2100억원으로 추산되지만, 향후 정산기일이 다가오는 거래분까지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커질 것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다만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게 될 경우 사기업에서 발생한 손실을 국민 세금으로 메우려고 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 대표는 이날 티몬·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해 공식 사과하며 "내가 가진 재산의 대부분인 큐텐 지분 전체를 매각하거나 담보로 활용해 이번 사태 수습에 사용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사태 발생 후 내놓은 첫 입장 발표다.

이어 그는 "큐텐은 양사에 대한 피해회복용 자금지원을 위해 긴급 유동성 확보에 나서고 있다"며 "큐텐 보유 해외 자금의 유입과 큐텐 자산 및 지분의 처분이나 담보를 통한 신규 자금 유입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 대표는 정산 지연 사태와 관련한 유동성 확보를 위해 M&A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큐텐은 양사의 경영 정상화 및 유동성 확보를 위해 그룹 차원에서 펀딩과 M&A를 추진하고 있다"면서도 "전략상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못한다"고 선을 그었다.

G마켓을 창업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뒤 2009년 5500억원에 미국 이베이에 매각한 구 대표는 해외에 상당한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