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 사태'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왼쪽부터) 류화현 위메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김소영 금융위부위언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
30일 오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티몬·위메프 정산 및 환불 지연 사태'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왼쪽부터) 류화현 위메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김소영 금융위부위언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0일 “큐텐 자금 추적 과정에서 드러난 강한 불법의 흔적이 있어서 검찰에 주말이 지나기 전 수사 의뢰를 해놓은 상태고 주요 대상자에 대한 출국금지 조처 등 강력 조치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티몬·위메프 사태에 대한 긴급현안 질의에서 ‘구영배 큐텐 대표가 자금이 없다고 하는데 금감원에서 자금 추적을 하고 있느냐’는 윤한홍 국회 정무위워장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이 원장은 구 대표의 답변과 관련해 “가급적 선의를 신뢰해야겠지만, (구 대표가) 최근 저희와의 관계상에서 보여준 행동이나 언행을 볼 때 약간 양치기 소년 같은 행태들이 있기 때문에 말에 대한 신뢰를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판대대금이 사라졌는데, 자금이 없다고 하니 해외를 포함해 금감원에서 자금 추적을 하는게 가장 급한것 같다’라는 지적에 대해서 이 원장은 “(큐텐그룹 자금 추척을 위해) 20명 가까운 인력을 동원했고, 검찰과 공정위에서 인력을 파견했다”고 답했다.

그는 ‘핵심은 사라진 1조원의 행방을 찾는 것이라는 생각에 동의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의 질의에 “큐텐 측의 가용자금이나 외부로 유용된 자금이 있는지와 규모를 파악해 책임재산을 확보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5월 이후 티몬·위메프 판매자 미정산 금액을 2134억원으로 추산했다. 6~7월 대금까지 합치면 피해 액수가 최대 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원장은 위메프는 2020년, 티몬은 2022년부터 자본잠식상태에 빠져 경영개선 양해각서를 체결했는데도 왜 이런 사태가 벌어졌냐는 물음에 “미상환·미정산 금액과 추가로 신규 유입되는 자금의 일부분은 별도 관리해 달라는 요청을 했지만, (티몬·위메프 측이) 건건이 하겠다고 답하면서도 제대로 이행 안 된 부분에 대해서 (관리 감독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키워드

#티메프 사태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