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연속 1%대로 둔화...석유류 물가 하락 영향 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를 기록하면서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상승률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 큰 폭으로 떨어진 석유류 물가였다. 다만 채소류 물가 상승률은 10%대에 오르며 김장철을 앞두고 여전히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69(2020년=100)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 상승한 것이고, 2021년 1월(0.9%) 이후 3년9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부터는 1%에 진입하며 두 달 연속 둔화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9% 가격이 낮아지면서 전체 물가 하락에 0.46%p 영향을 줬다.
채소류 물가는 15.6%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0.25%포인트(p) 끌어올렸다.
구체적으로 배추(51.5%), 무(52.1%), 상추(49.3%) 등 품목의 가격 상승이 두드려졌지만, 사과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20% 떨어졌다.
'밥상 물가'와 관련된 신선식품 지수는 1.6%, '장바구니 물가'와 연관이 있는 생활물가 지수 상승률은 1.2%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8%를 기록해 전월보다 0.2%p 낮아진 추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 송미령 장관 "김장 염려 안 해도 돼...대형마트 배춧값 3000원대"
- 정부, 김장물가 잡는다...배추 2만4천톤 공급·40% 할인 지원
- 물가 상승률, 3년 6개월 만에 1%대...배추 등 채소값은 '강세'
- "김장철 앞두고 배춧값 잡혔다"...포기당 3천원 ↓
- 43살에 정점 찍은 노동소득, 61살부터는 다시 '적자'로 들어선다
- "주택 매매 증가 영향"...10월 거주지 이동자, 3년 만에 최대
- 가구소득 증가율, 6.3%로 '역대 최대폭'↑...청년가구는 1%로 8년만 '최저치'
- 올해 소비자물가 2.3% 상승...'4년 만에 최저'
- 또 심상 찮은 물가...석달째 연속 올라 상승률 5개월 만에 2%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