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대법 선고서 사모펀드로 경영권 넘어가
한앤코, 남양유업 인수 절차 돌입…경영 정상화 속도

(사진=연합뉴스)

[핀포인트뉴스 구변경 기자] 남양유업이 홍원식 회장과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 간 인수합병(M&A) 공방에서 최종 패소했다. 남양유업은 지난 1964년 창립한 후 60년 만에 새 주인을 맞게 됐다.

4일 대법원 2부(주심 대법관 천대엽)는 한앤코 측이 홍 회장 일가를 상대로 제기한 주식양도 소송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원고 승소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로써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은 국내 사모펀드 한앤코에 경영권을 넘겨주게 됐다.

이에 따라 한앤코는 남양유업 인수 절차를 밟아 훼손된 지배구조와 이미지 개선, 경영 정상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한앤코는 지난 2021년 주식 매매계약 체결 당시 "남양유업에 집행임원제도를 적용해 지배구조 개선과 경영 효율화를 통한 기업 가치 제고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집행임원제도는 의사결정과 감독 기능을 하는 이사회와 업무를 처리하는 집행임원을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제도로, 이사회의 감독 기능을 강화하고 집행부의 책임 경영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한앤코는 기존 남양유업 직원들의 고용을 승계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경영권 인수 후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또 여러 논란으로 실추된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도 앞으로 한앤코의 중점 과제로 꼽힌다.

실적 개선도 시급한 문제다. 남양유업의 연 매출은 지난 2020년 1조원 밑으로 떨어진 뒤 2022년까지 3년 연속 적자를 면치 못했다. 지난해의 경우 1∼3분기에 28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앞서 홍 회장과 한앤코의 경영권 분쟁은 지난 2021년 불거졌다.

남양유업이 2021년 4월 자사 제품 불가리스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억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자, 보건당국이 이를 전면 반박하고 나서면서 사회적 논란이 커졌다.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자 홍 회장은 2021년 5월 회장직 사퇴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자신과 가족이 보유한 남양유업 지분 53%를 3107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한앤코와 체결했다. 하지만 같은 해 9월 돌연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한앤코는 홍 회장 측이 계약 이행을 미룬다며 2021년 8월 주식양도 소송을 제기했다. 1·2심 재판부는 모두 한앤코의 승소를 확정했고 이날 대법원 판단도 결국 한앤코의 손을 들어줬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