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 ENM 커머스 부문(CJ온스타일)은 지난해 1045억원 규모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12일 밝혔다. 전년 대비 20.1% 증가한 수치다.
연간 매출은 1조4514억원으로 전년 대비 8.5% 늘었다.
이에 대해 온스타일 측은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강화를 중심으로 TV와 이커머스를 유기적으로 연계한 ‘원플랫폼’ 전략 효과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대비 96%, 2022년 대비 132% 상승하며 모바일과 TV를 넘나드는 영상 커머스 플랫폼 경쟁력이 크게 강화됐다.
지난해 10월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CJ온스타일 론칭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플랫폼 경쟁력 강화로 트렌디한 신진 브랜드들이 대거 입점하면서 상품 경쟁력이 고도화됐다는 평이다.
온스타일은 올해 모바일 라이브커머스 초격차 경쟁력을 기반으로 대형 IP(지식재산권)를 집중 육성하고 영상 큐레이션 커머스 플랫폼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올해 모바일과 TV 채널 통합형 영상 콘텐츠 IP를 늘리고 티빙,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외부 동영상 플랫폼으로 확장할 대형 IP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외부 플랫폼 확장을 통해 콘텐츠 커머스에 대한 고객 경험을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올해 첫 통합형 대형 IP는 이달 초 론칭한 '겟잇뷰티'다. '겟잇뷰티'는 모바일과 TV 특성에 따라 채널별로 이원화한 최초 사례다.
상품 포트폴리오 강화 측면에서는 신규 브랜드는 물론 고감도 팬덤 브랜드 및 협업 등을 통해 상품 경쟁력 및 세일즈 역량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윤상현 CJ ENM 대표이사는 "콘텐츠 산업은 더 이상 국경도, 언어도, 장르간 경계도 없어 어느때 보다 혁신적 시도와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며 "K콘텐츠 제작 생태계를 선도해 온 ONLYONE IP 정신을 기반으로 2025년에는 미래를 향한 새로운 챕터를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CJ온스타일, '겟잇뷰티' TV서도 만난다…모바일-TV 첫 이원화
- CJ온스타일, 인기 전시 연계 모바일 라방 진행… 아트 인테리어 시장 공략
- CJ온스타일, 새로운 뷰티 IP ‘겟잇뷰티’ 론칭… 프리미엄 뷰티 시장 공략
- CJ온스타일, 27일까지 '새벽에 오네' 서비스 운영
- CJ온스타일, 설 연휴 맞아 특화 배송 서비스 운영
- CJ온스타일, ‘럭셔리체크인’ 통해 반얀트리 서울 숙박권 최대 65% 할인
- '부진의 늪' 홈쇼핑, 고마진 상품이 효자네
- CJ온스타일 "쇼핑은 쇼로 시작해" 캠페인
-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쇼 시즌2 론칭… 패션·리빙·뷰티 3대 IP 강화
- CJ온스타일, 업계 최초 AI 패션 쇼케이스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