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적 자금 조달 나설 듯…큐텐 해외사업장서 자금 수혈
구영배 큐텐 지분 매각 등 관심…구조조정 펀드도 검토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초래한 티몬과 위메프(티메프)가 결국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생사 기로에 놓였다.
업계에서는 티메프의 생존이 모기업인 큐텐의 자구안 마련에 따라 달라질 것이란 관측이다. 구영배 큐텐 대표가 티메프 사태 해결을 위해 사재를 얼마나 내놓을지도 관심이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는 지난 29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내면서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도 신청했다.
ARS는 법원이 강제 회생절차 개시를 보류하고 기업과 채권자들이 자율적으로 협의하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채권자가 ARS 시행에 동의할 경우 법원은 최장 3개월의 기간을 주고 신청 법인이 자율적으로 회사를 살릴 방안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들 회사가 어떤 자구안을 마련할지 업계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우선 입점 판매자와 소비자의 피해 금액을 마련하기 위해 자체적인 자금 조달 노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티몬과 위메프 각각 독자적으론 자금 마련이 어려운 상황이어서 현재로선 모회사인 큐텐의 도움이 필수적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큐텐은 이미 티몬과 위메프에 수혈할 자금을 해외에서 가져오려고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큐텐 측은 지난 2월 인수한 북미·유럽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위시'를 통해 5000만달러(약 700억원)를 다음 달 중 조달하겠다는 계획도 금융당국에 제출한 상태다.
이밖에도 중국과 인도, 동남아시아 등에 있는 큐텐의 해외 사업장 자금을 끌어오거나 이를 담보로 대출받는 방안 등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권도완 티몬 운영사업본부장도 지난 27일 중국에 있는 큐텐 자금 600억원을 담보로 대출받는 방안이 있다는 취지로 언급하기도 했다.
여기에 이번 사태의 책임론이 불거진 구영배 대표는 자신이 가진 큐텐 지분을 매각하거나 개인 전 재산을 모두 내놓아 티몬과 위메프 사태 해결에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구 대표는 큐텐 지분 42.8%를 보유한 최대 주주고, 나스닥 상장을 추진해온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지분도 29.4%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큐텐그룹도 티몬과 위메프와 같이 경영난을 겪고 있어 구 대표 보유 지분 가치는 담보로 인정받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몬스터홀딩스(25.60%)와 원더홀딩스(18.00%) 등의 큐텐 2대주주도 추가 투자에 난색을 표한데다, 글로벌 투자시장에서 선뜻 투자에 나설 자본가를 물색하기도 현재로선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정산 지연 사태로 큐텐과 큐익스프레스의 기업 가치도 크게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해당 지분을 매각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티몬과 위메프는 이와 별도로 ARS가 받아들여질 경우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주관하는 '기업구조혁신펀드'를 활용한 자금 조달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 요기요, 티몬 상품권 피해 보상 나선다
- [티메프사태] 내달 2일 대표 출석해 법원 심문
- [속보] 서울회생법원, 내달 2일 티몬·위메프 기업회생 심문
- [티메프사태] 구영배 "모든 것 내놓겠다…최대 동원 자금 800억원"
- [티메프사태] 판매자 피해액 1조원 넘나…6만곳 줄도산 우려
- [티메프사태] '정산 지연' 인터파크·AK몰까지 번지나
- 티몬·위메프 "法 통제하에 영업 정상화, 피해보상 노력"
- [티메프사태] 직전 하루 카드결제액 일평균 5배↑
- 검찰, 티메프·구영배 동시다발 압수수색
- [티메프사태] 中 알리 다시 '반등'…11번가·G마켓도 수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