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시행 13시간여만에 '번복'...한국 등 국가에는 10% 기본관세만
"중국, 더 이상 미국과 다른 나라 갈취하지 못한다는 사실 깨달을 것"

서명한 행정명령서 보여주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 13시간 만에 이를 도로 거둬들이고, 중국에는 관세율 '125%'라는 초강수를 뒀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70여개국은 90일간 관세가 한시 유예되고, 기본세율인 10%만 부여된다. 

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중국에 대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에 발표했던 104%에서 21%포인트(p)를 더 높인 것이다.  

이어 그는 "희망컨대 머지않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SNS. 사진=트루스소셜 @realDonaldTrum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SNS. 사진=트루스소셜 @realDonaldTrump

앞서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맞서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여행 자제령까지 발표하는 등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협상에 나선 국가들에 대해선 온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며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고,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라고 전했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백악관도 즉각 공식 입장을 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재 뒤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면서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미국의 모든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에 따라 5일부터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가 시행됐고, 9일 0시 1분부터는 한국·일본·중국 등 56개국과 EU 27개 회원국을 포함한 70여개국에 대해 국가별 상호관세가 별도로 부과됐다.

하지만 정식 발효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조치를 유예했다. 이는 최근 관세 갈등 여파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장이 크게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더해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연이어 내놓은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과적으로 중국을 겨냥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면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했다는 점 등을 언급했다.

또 그는 무역 전쟁의 구도를 '전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냐는 질문에는 "난 무역 전쟁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면서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