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전체 5.2% 감소…반도체 외 주요 품목 줄줄이 부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붙인 '관세전쟁'의 여파로 4월 중순까지 대미 수출이 14.3%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수출 품목에서 수출이 모두 줄었고, 무역수지는 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액은 339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8억7000만달러(5.2%) 감소했다. 올해와 작년 모두 조업일수는 15.5일로 같았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 2월과 3월 2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인 바 있다.
주요 10대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10.7%)를 제외한 승용차(-6.5%), 석유제품(-22.0%) 등 나머지 9개 품목은 모두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으로의 수출이 14.3% 급감했다. 관세청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 부과 여파로 대미 수출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적용하기로 한 상호관세율은 25%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현재는 일부 품목에 대해 기본 관세 10%만 적용된 상태다. 이에 따라 기존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적용받던 0%에 가까운 특혜관세가 사실상 무력화되면서 우리 수출 기업들이 타격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3.4%), 베트남(-0.2%) 등 주요 교역국 수출도 줄었다. 반면 유럽연합(EU)으로는 13.8%, 대만으로는 22.0% 수출이 증가했다.
수입액은 같은 기간 340억달러로 11.8%(45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장비(9.8%), 정밀기기(2.9%)는 증가했지만, 원유(-29.5%), 반도체(-2.0%)는 줄어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도 27.9%나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일본(3.2%), 베트남(6.3%)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한 반면, 중국(-7.6%), 미국(-10.1%), EU(-17.3%)는 감소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며 무역수지는 1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통상 월말로 갈수록 수출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월간 기준으로도 감소세가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