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독립 법인으로써 비용 지급받아야" vs "한전 "UAE 정산이 우선"
양사 모두 국제 분쟁 대비해 로펌 선임...1조4천억 손실 부담 위험에 '팽팽'

바라카 원전 3호기. 사진=연합뉴스
바라카 원전 3호기. 사진=연합뉴스

한국전력과 자회사 한국수력원자력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1조4000억원 규모의 추가 비용 처리 문제와 관련해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두 기관의 갈등이 계속되면서 국제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24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최근 비공개 회동을 통해 추가 비용 처리 문제의 해결 방안을 논의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했고, 양사 간 실무진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후 이후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의 추가 공사 대금 정산을 요구하는 한수원과 발주자인 UAE 측과 협의를 통해 '팀코리아' 차원에서 추가 비용을 정산받는 것이 먼저라는 한전의 입장이 충돌하며 협상 진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총 4기로 구성된 바라카 원전은 한국이 해외에서 처음으로 수주한 원전 프로젝트로, 수주 금액은 약 20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4호기까지 상업 운전에 들어가면서 프로젝트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고, 주계약자인 한전과 시운전에 해당하는 운영지원용역(OSS)을 맡은 한수원 등 여러 협력사 간 최종 정산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한수원은 지난해 1월 UAE 발주처와 한전 등의 귀책으로 인한 공기 지연과 추가 작업 등을 근거로 10억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을 정산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수원 측은 자사가 비록 한전의 100% 지분 자회사이지만 독립된 법인으로서 체결한 OSS(운영지원용역) 계약에 따라 별도로 비용을 정산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한전은 UAE로부터 먼저 추가 공사비를 받은 후 '팀 코리아' 차원에서 비용을 분배하자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양측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김동철 한전 사장은 지난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한수원의 추가 정산금 요청에 대해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해당 발언이 전해지고 난 뒤 한수원 내부에서는 법인 간 계약에 따른 정산권 자체가 인정받지 못한다면 한전과의 협상이 더는 무의미하다고 판단하고, 국제 분쟁 진행을 위한 관련 실무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과 한수원이 체결한 OSS 계약에는 양사 간 이견이 클레임 단계에서 조정되지 못하면 런던국재중재법원(LCIA)에서 법적 해결을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전과 한수원은 이미 각각 국제 분쟁을 대비한 로펌 선임을 완료한 상태다. 

한수원으로서는 추가 비용을 한전으로부터 받지 못할 경우 1조4000억원의 손실을 떠안게 된다. 반면 한전 역시 UAE 측과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해당 금액을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하므로 양사 모두 부담이 큰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현실적으로 한전 역시 런던중재소로 이 사안을 가져가는 등 강수를 두지 않는 한 UAE 측으로부터 추가 정산을 받기 어렵다는 예측이 나온다. 

아울러 업계에서는 작년 상반기까지 바라카 원전의 누적 매출 이익률이 1%대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최종 정산 과정에서 추가 정산을 받지 못한 채 한수원에 지급할 비용만 추가되면 누적 매출 이익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어 한전은 향후 해외 원전 사업 진행 과정에서 수익률 관리 문제로 부담을 안을 수 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