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각각 로펌 선임 런던국제중재법원 '법정 다툼' 채비까지
예상 수임료만 200억원대…"K-원전 수출 걸림돌 될 것" 우려

UAE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UAE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전경. 연합뉴스.

공사비 상승의 불똥이 해외 원전 건설 현장에까지 튀고 있다.

특히 한국의 첫 해외 수주 원전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총공사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총공사비는 2009년 계약 때 예상보다 조단위로 증가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사업 주계약자인 한국전력공사와 실제 원전 건설에서 운영에 이르는 폭넓은 업무를 수행한 자회사 한국수력원자력이 정산 과정에서 불어난 사업비를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전과 한전 자회사인 양측이 각자 로펌을 선임해 국제 분쟁 준비까지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원전 업계에 따르면 한전과 한수원은 UAE 바라카 원전 최종 정산 문제를 놓고 협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런던국재중재법원(LCIA)에서 진행될 법정 다툼에 대비해 각각 국내외 로펌을 선임했다.

한전이 대표로 나선 '팀 코리아'는 지난 2009년 약 20조원에 바라카 원전 사업을 수주했다.

총 4기로 구성된 바라카 원전은 한국이 처음 해외에서 수주한 원전이다.

순차적인 건설을 통해 지난해 마지막 4호기까지 상업 운전에 들어갔다. 이에 발주사와 주계약자, 협력 업체들이 최종 정산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주계약자인 한전과 한수원 간에 당초 계획보다 증가한 비용 부담 문제가 불거졌다.

한수원은 작년 말 한전에 정식으로 추가 비용 정산을 요구하는 '클레임'을 제기했다. 한수원 측이 제기한 추가 비용은 조단위에 달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전은 분쟁이 런던국제중재소로 갈 것에 대비해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로펌을 최근 선임했는데 이 과정에서 예상 자문료를 약 1400만달러(약 200억원)로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법무 비용을 근거로 한전과 한수원 간 정산금 분쟁 규모가 적어도 1조원을 넘길 것으로 추산한다.

한전과 한수원이 런던국제중재법원으로 가기 전 단계에서 협상 시한을 정하진 않았지만 양사 간 입장 차이가 커 협상에 진통이 거듭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수원으로서는 자체적으로 산정한 추가 비용을 정산으로 보전받지 못하면 향후 큰 규모의 손실을 안아야 한다. 현 경영진으로서는 향후 배임 책임이 제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이다.

모기업인 한전도 러·우 전쟁 전후로 원가 밑으로 전기를 공급해 총부채가 200조원을 넘는 등 심각한 재정 위기 상황에 빠져 조단위 추가 정산 부담이 어려운 상황이다.

대형 플랜트나 건설 사업에서 공기 지연, 발주자의 설계 변경 요청, 자재비 상승 등 여러 이유로 프로젝트 완공 후 추가 비용 정산을 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으로 건설된 컨소시엄도 한수원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별도 추가 공사비 정산을 한전에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전·한수원이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지식재산권 갈등을 풀어 제3국 원전 수출에 전기가 마련됐다는 기대감이 커진 상황이라서 원전 업계에서는 '팀코리아' 내분이 증폭된다면 힘겹게 마련한 원전 수출 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