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사태 24일만에 '내란 주도 혐의' 김용현 전 국방장관 구속 기소
尹, 이진우에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어라" 등 지시
"적어도 올해 3월부터 비상계엄 논의 이뤄져...지난달부터 실질적 준비"

검찰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본회의장으로 가서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 끌어내라"는 지시를 했다고 밝혔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27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내란 중요임무 종사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구속 기소했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24일 만의 첫 사례다.
김 장관은 헌법기관인 국회를 봉쇄하고, 계엄 저지 의결을 방해하기 위해 수도방위사령부와 특전사령부 병력을 투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윤 대통령이 이진우 수방사령관에게 직접 전화해 국회 병력 투입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를 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당시 "아직도 못 들어갔어?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오라고 해", "문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검찰은 김 전 장관이 여인형 방첩사령관에게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주요 인사 10여명의 체포·구금까지 지시한 것으로 파악했다. 검찰은 해당 과정에서 경찰 국가수사본부와 국방부 조사본부도 가담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은 비상계엄이 선포된 직후 중앙선거관리 장악을 위해 정보사령부 병력을 투입하고, 방첩사와 특전사 병력을 선관위 등에 출동시켜 서버 반출을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이 같은 행위가 국헌 문란의 목적이 인정될 뿐 아니라 내란죄 구성요건인 '폭동'에도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또한 검찰은 윤 대통령이 적어도 올해 3월부터 비상계엄 선포를 염두에 두고 김 전 장관 등과 여러 차례 논의한 것으로 파악했다. 지난달부터는 실질적인 비상계엄 준비가 진행됐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