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6개월 만에 상승… 변동금리 이자율 인상

8개 은행의 평균 가중금리 코픽스 금리가 6개월 만에 상승했지만 소폭 늘어나는데 그치면서 기존 주택담보대출 차주들의 부담이 크지는 않을 전망이다. 다만 다음달부터 스트레스 DSR제도가 시행돼 신규 차주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8개 은행의 평균 가중금리 코픽스 금리가 6개월 만에 상승했지만 소폭 늘어나는데 그치면서 기존 주택담보대출 차주들의 부담이 크지는 않을 전망이다. 다만 다음달부터 스트레스 DSR제도가 시행돼 신규 차주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코픽스(COFIX·자금조달 지수) 금리가 6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오름폭이 소폭에 그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차주들에게 큰 영향은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오는 7월부터 시행되는 대출 규제는 신규 주담대 수요자들에게 적잖은 부담이 될 수 있다.

18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5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3.56%로 전월 대비 0.02% 상승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대출자금에 대한 가중평균금리를 말한다.

코픽스 금리는 지난해 11월(4.00%) 이후 올해 4월까지는 1월(0.12%), 2월 (0.04%), 3월(0.03%), 4월(0.05%) 등으로 연속 하락세를 보였지만 5월 들어 상승 전환했다.

이번 코픽스 인상으로 주담대 차주들이 지는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예를 들어 1억원을 대출받았다면 연 2만원, 10억원 대출 시 연 20만원 정도 이자 부담이 늘어난다. 월 단위로 보면 각각 이자 부담은 1000원, 1만원대다.

여기에 5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대체로 전월 대비 하락했다.

지난 17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고정형 상품 금리는 3.04~5.72%로 최저금리는 2%대에 가까워졌다.

변동형 대출상품의 금리는 3.72~6.48%로 한 달 전(3.80~6.18%)과 비교하면 최저금리가 0.08%포인트 하락한 상태다.

다만 다음 달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차주를 대상으로 대출을 까다롭게 내주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가 시행된다. 기존 차주와 달리 신규 대출이 필요한 차주들에겐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DSR은 대출을 받는 차주가 소득 대비 얼마를 상환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앞서 DSR은 현재 금리를 기준으로 산정 해왔지만, 지난 2월부터 실제 금리에 더해 앞으로 인상 가능성이 있는 금리, 즉 스트레스 금리 체계로 기준을 바꿨다.

만약 주담대 금리가 4.0%인 상품을 택해도 여기에 스트레스 금리 0.38%가 가산되면, 총 4.38% 금리로 대출한도를 산정하게 된다.

이를 실제 대출 사례에 적용하면 5000만원 연봉의 직장인이 받을 수 있는 주담대 한도가 2000만원 원가량 줄어들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에 민감하다면 0.01%도 아쉬울 수 있지만 이번 코픽스 인상은 큰 변동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주담대 금리는 기준금리 변동이 확실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올해 한 차례 있을 것으로 예고된 기준금리 인하가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