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마켓·SSG닷컴·11번가·롯데온 2Q 영업손실 794억
쿠팡 2Q 영업익 흑전…"독주 체제 공고해질 것"

쿠팡 본사. (사진=연합뉴스)
쿠팡 본사. (사진=연합뉴스)

국내 주요 e커머스가 대부분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 둔화와 업계 1위 쿠팡의 독주 등 영향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G마켓·SSG닷컴·11번가·롯데온 등 주요 e커머스 4개 업체의 올해 2분기(4~6월) 합산 영업손실 규모는 794억 원에 달했다.

G마켓은 2분기 181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8.3% 감소했다. 2분기 영업손실은 298억 원으로 전년 동기(76억 원)보다 4배 가까이 커졌다. SSG닷컴도 2분기 매출이 35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줄었고, 영업손실은 310억 원으로 전년 동기(169억 원)보다 83.4% 늘었다.

11번가는 2분기 영업손실이 102억 원으로 전년 동기(183억 원) 보다 절반 가까이 줄였지만, 매출이 1103억 원으로 18.1% 감소했다. 롯데온도 2분기 영업손실이 84억 원으로 전년 동기(199억 원) 대비 절반 이상 줄었지만, 매출은 266억 원으로 4.6% 감소했다.

적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마케팅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인력을 대대적으로 감축하는 등 수익성 개선 노력을 기울였는데도 손실은 되려 커졌다는 분석이다.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성이 급격히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쿠팡이 독주 체제를 이어가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쿠팡은 2분기에 전년 동기(10조 357억 원) 대비 19% 성장한 11조 9763억 원의 매출을 올려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209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여기에 브랜드 자사몰까지 약진하면서 종합 온라인 쇼핑몰의 입지는 더 좁아지고 있다. 

e커머스 업체들은 당장 소비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적자를 줄이는 등 수익성 제고에 역량을 집중하는 상황이다. 결국 네이버·쿠팡 등 상위 업체 위주로 시장 재편이 더욱 가속화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상훈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쿠팡의 흑자는 인위적인 비용 절감이 아닌 규모의 경제와 물류 투자의 성과"라며 "현재 e커머스 후발주자들은 외형 성장을 위한 뚜렷한 모멘텀이 부재하고 단기적인 성과에만 빛을 발할 수 있는 구조라, 장기적으로 쿠팡의 독주 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확대되는 중국의 알리·테무 등 C커머스의 위협이 본격화된 이후에는 시장 구도가 상위 업체 중심으로 크게 바뀔 수 있다는 데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쿠팡은 견뎌내겠지만 나머지 업체들은 C커머스의 공습에 맥을 못추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온라인 마켓 업황 자체는 호조지만 자본 규모가 중요해지면서 중소 e커머스의 입지가 더욱 흔들리고 있다"며 "극단적으로는 쿠팡, 네이버, C커머스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모두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있다"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