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피알 '메디큐브' 글로벌 누적 판매량 400만대↑
LG생건 화장품 제조·뷰티테크 산업 융합 초점
아모레퍼시픽 '메이크온' 매출 전년比 270%↑

사진=에이피알
사진=에이피알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뷰티 디바이스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다. 뷰티 디바이스는 고주파나 초음파, 발광다이오드(LED) 파장 등으로 미백, 모공·탄력 개선 등을 도와주는 전자기기다. 비용 부담이 높은 피부과 관리 대신 이른바 '홈케어'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집에서도 손쉽게 피부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소비자들에게 장점으로 부각됐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2022년 140억달러(약 19조원)에서 2030년 898억달러(약 122조원)로 연평균 26.1%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시장에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디큐브'로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는 에이피알과 국내 화장품 투톱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모양새다.

먼저 에이피알의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은 글로벌 누적 판매량 400만대를 넘겼다.

에이피알에 따르면 에이지알의 판매 속도는 100만대를 기준으로 가속도가 붙고 있다. 지난 2021년 3월 공식 론칭한 에이지알은 첫 신제품 출시 후 약 2년 2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대를 달성했다. 이를 시작으로 약 11개월 만에 200만대 판매를 돌파했으며, 300만대 판매까지는 8개월, 이번 400만대 기록은 불과 5개월 만에 성과다. 

특히 이번 누적 기록은 글로벌 시장 다변화를 바탕으로 해외 매출이 성장한 점이 주효했다고 회사 측은 보고있다. 

세부 제품별로는 브랜드 대표 제품인 '부스터 프로'가 가장 높은 인기를 보인 가운데 △울트라튠 40.68 △하이 포커스 샷 △부스터 프로 미니 등 2세대 뷰티 디바이스들도 견조한 판매 실적을 보였다.

에이피알 시가총액은 지난 23일 종가 기준 3조3718억원을 기록하며 LG생활건강(3조3336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 (사진=LG생활건강)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 (사진=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미용기기 브랜드 'LG 프라엘(Pra.L)'로 뷰티 디바이스 시장에 뛰어 들었다. 프라엘은 지난 2017년 출범 당시 '더마 LED 마스크' 제품으로 입소문을 탔다.

LG생활건강은 지난 23일 전류를 활용해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를 새롭게 선보이는 등 디바이스 라인업을 늘리고 있다.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와 함께 디바이스 전용 화장품 '글래스라이크(GLASSLIKE)' 스킨케어 3종은 주름과 입술 건조, 색소 침착, 탄력 저하, 피부 톤 등 피부 부위별 고민을 집중 케어하는 제품으로 내놨다.

앞서 LG생활건강은 화장품 제조와 뷰티테크 산업 간의 융합 효과를 높이고자 LG전자의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인 'LG 프라엘' 브랜드를 양수하는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화장품-디바이스-인공지능(AI)'으로 이어지는 뷰티 인텔리전스 스킨케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미래 성장 동력인 뷰티테크 사업을 본격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화장품 전문 연구·개발(R&D) 노하우를 뷰티 디바이스에 접목해서 진일보한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자극 부스팅 디바이스 '젬 소노 테라피 릴리프'. (사진=아모레퍼시픽)
저자극 부스팅 디바이스 '젬 소노 테라피 릴리프'.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 역시 2014년부터 뷰티 디바이스 브랜드 '메이크온(makeON)'을 선보여 왔다. 메이크온은 올해 3월 30만원대 뷰티 디바이스 '스킨 라이트 테라피 3S', 4월 20만원대의 '젬 소노 테라피 릴리프' 등 주요 신제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70% 급증했다.

업계 관계자는 "화장품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뷰티테크(뷰티+테크)'가 각광받으며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과거의 뷰티 디바이스는 100만원에 가까워 비용 부담이 컸지만, 최근에는 10만~30만원대 중저가 제품이 주를 이루는 추세"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