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인천 1시간 경제권 구축…GTX플러스 등 신규 노선도 적극 검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노후 도심에 대한 재개발·재건축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 후보는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수도권 맞춤형' 공약을 발표했다. 미래형 스마트도시를 구축하고 생활 인프라를 확충해 K-수도권을 국제 경제와 문화의 중심으로 세운다는 구상이다.  

이 후보는 "1기 신도시(분당, 일산, 산본, 중동, 평촌)는 노후 인프라를 전면 재정비해 도시 기능과 주거 품질을 함께 높일 것"이라며 "수원, 용인, 안산과 인천 연수·구월 등 노후 계획도시 정비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 노후 도심에 대해서는 재개발·재건축 진입장벽을 낮추고 용적률 상향, 분담금 완화 등을 통해 정비 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제4기 스마트 신도시 개발을 준비해 청년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에게 쾌적하고 부담 가능한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수도권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연결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후보는 서울·경기·인천을 '1시간 경제권'으로 묶고, GTX-A·B·C 노선의 차질 없는 추진은 물론, 수도권 외곽 및 강원 지역까지의 연장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GTX-D·E·F 등 신규 노선은 지역 간 수요와 효율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경기도가 제안한 GTX플러스 노선 역시 검토하겠다고 했다.

서울의 미래 비전으로는 글로벌 경제수도화를 제시했다. 여의도 금융허브와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잇는 금융·비즈니스 거점을 육성하겠다고 했으며,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홍릉·상계), 도심제조업 밸리(세운상가·남대문·동대문·성수동), AI·IT 산업 밸리(구로·금천·테헤란로·양재) 등 산업별 공간 전략도 함께 소개했다. 문화 콘텐츠 산업 측면에서도 서울 상암과 도봉 일대에 K-콘텐츠 인프라를 확충해 글로벌 문화수도로서의 입지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대표는 경기도에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육성을 중심으로 미래 산업 거점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밝혔다. 성남, 수원, 용인, 화성, 평택, 안성 등지에 조성되는 반도체 산업 단지를 세계 반도체 중심지로 발전시키겠다는 것이다. 

특히 경기북부에 대해서는, 국가 주도의 산업 및 사회간접자본(SOC) 대개발을 과감히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접경지에는 평화경제특구를 조성하고, 미군 반환 공여지 및 그 주변 지역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DMZ 일대는 생태관광협력지구로 개발해 남북 간 평화교류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인천에 대해서는 공항, 항만, 배후도시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