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 이산화탄소 90% 이상 포집...5월까지 기술개발 진행

한국수력원자력이 인산형 연료전지(PAFC)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포집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한수원은 이날 전남 광양에서 '연료전지 탄소포집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에는 광양시, 여수광양항만공사, 두산퓨얼셀, 에어레인, 한국종합기술 등 관련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다. 한수원은 지난 2023년 3월 광양시 및 여수광양항만공사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계기로 탄소중립항만 전략에 부합하는 여수광양항 연료전지 발전사업 추진을 위해 이번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탄소포집기술 개발은 2023년 9월부터 한수원이 주관하고 두산퓨얼셀(연료전지 설계변경), 에어레인(분리막 포집기술), 한국종합기술(설치공사)의 공동 참여로 진행 중이며, 오는 5월까지 총 20개월 동안 이어질 예정이다.
한수원은 지난해 12월 여수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부두에 연료전지 1대와 분리막 포집설비 1대를 설치했으며, 올해 1월에는 각 설비들의 시운전을 완료했다. 2월부터는 PAFC 연료전지를 100% 출력으로 운전하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실증 운전을 진행하고 있다.
김형일 한수원 그린사업본부장은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연료전지 발전소가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저감한 친환경 발전소로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연료전지 탄소포집기술이 산업계와 환경 분야에서 중요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