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잠재적 자금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4일 오전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지난 2월 28일 발표된 신용평가에서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와 부채비율 개선 등 주요 개선 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신용등급이 하락했다”며 “향후 단기자금 조달에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의 2025년 1월 31일 기준 부채비율은 462%로, 전년 대비 1,506% 개선됐으며 직전 12개월 매출은 7조462억원으로 2.8% 증가했다. 또한,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같은 기간 2374억원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플러스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번 회생절차 신청과 관계없이 홈플러스의 대형마트, 익스프레스, 온라인 채널 등 모든 영업은 정상 운영되며, 협력업체와의 거래도 더욱 원활히 진행될 예정이다. 법조계에서는 홈플러스가 지금까지 채무불이행 사례가 없고 정상적인 영업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법원의 회생절차 개시 명령이 신속히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회생절차 개시 이후 금융채권 상환은 유예되지만 협력업체와의 일반 상거래 채무는 회생계획에 따라 전액 변제되며, 임직원 급여도 정상 지급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유통업 특성상 대부분의 매출이 현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두 달 사이에 약 1000억원의 잉여 현금이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회생 결정 이후 금융 부담이 줄어들면 현금 수지가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홈플러스의 금융부채는 약 2조원 수준이지만, 4.7조원이 넘는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회생계획이 확정되면 금융채권자들과의 조정도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대형마트 규제, 코로나로 인한 소비 패턴 변화, 쿠팡 및 C-커머스 등 이커머스의 급성장 속에서도 3년 연속 매출 성장을 이루며 영업 실적을 개선해왔다”며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자금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며, 임직원과 노동조합, 주주들이 힘을 모아 이번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홈플러스 노사, 올해 임금 협약 잠정 합의…"임금 1.2% 인상"
- 홈플러스 온라인, 2월 매출 1조5000억 돌파…"전체 매출 20%"
- 홈플러스, 광고 모델로 배우 김수현 재발탁
-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출범 3년…"누적 고객 1억2000만명"
- 홈플러스, 식품·비식품 총망라 할인…'심플러스 메가 PB' 개최
- 메리츠금융 “홈플러스 1.2조원 자금 회수 문제 없어”
- 홈플러스, 무리한 인수합병의 대가…결국 회생절차 돌입
-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 후폭풍… ‘세일앤리스백’ 점포 운명은
- '제2의 티메프' 될라…홈플러스 상품권 손절 나선 유통가
- 홈플러스 "상품권 전 매장에서 정상 사용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