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영표 아워홈 경영총괄사장이 최근 아워홈의 경영권이 한화그룹으로 인수된 것과 관련해 지난 12일 내부망에 공식적으로 첫 입장을 밝혔다.
이 사장은 "저는 아워홈의 전신인 엘지유통으로 입사해 아워홈의 모든 과정을 직접 겪은 사람"이라며 "과거 아워홈은 업계에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적어도 선대회장께서 경영하실 때까지는 그런 회사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아워홈은 어떤가. 주주 간 경영권 분쟁으로 경영권이 바뀔 때마다 조직은 와해됐고, 훌륭한 인재는 떠났고, 종전 경영진이 수립했던 경영방침은 손바닥 뒤집듯이 바뀌었다"며 "체제가 안정될 즈음이면 또다시 경영권이 바뀌어 폐해를 반복했다"고 꼬집었다.
이 사장은 "선대회장님을 그리며 면구함을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신다. 물론 선대회장님의 가계에 의해 발전 가도를 달릴 수만 있다면 무슨 걱정이겠나"며 "경영권 분쟁의 악순환 고리를 끊고 직원들이 회사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해드리는 것, (직원들이) 회사의 주인으로 자긍심을 갖고 일할 여건을 만들어 드리는 것이 제가 평행 일해온 아워홈의 마지막 소명이라 생각하며 일하고 있다"고 했다.
이 사장은 고용 보장 문제에 있어서는 두 차례나 밑줄까지 그어가며 강조했다. 그는 "직원들의 고용보장과 처우에 대한 보장은 회장님께서 불이익이 없도록 계약서에 명문화해 명기하셨다"고 했다.
지난해 성과 보상에 대해선 구지은 전 부회장 등에 화살을 돌려 "전임 경영진의 비현실적인 과도한 목표 설정으로 성과 보상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현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고성과자, 어려운 환경에서 일하는 분에 더 후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방침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월 급여 지급 시 개선된 제도와 기준으로 지난해 성과 보상을 실시할 것"이라며 "3월 정기 인사를 단 하루도 미루거나 늦추지 않도록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 11일 김동선 부사장의 주도하에 가칭 우리집에프앤비를 설립하고 이를 통해 구본성 아워홈 전 부회장과 구미현 아워홈 회장 외 2인의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약 8965억 원의 금액으로 58.6% 주식을 사들이는 내용이다.
관련기사
- [재벌가 전쟁] 한화家 3세 김동선 '베팅' VS 아워홈 2세 구지은 '우선매수권'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아워홈 지분 58.62% 인수… 급식업 재진출
- 아워홈, B2C 매출 확대 전략 주효했다…아워홈몰 인기
- 김동선 한화 부사장, 아워홈 인수 속도…연말까지 거래조건 확정
- 아워홈, 키사라·싱카이 연말 시즌 신메뉴 출시
- 아워홈, '지리산수' 인지도 강화…경남 산청군과 맞손
- 아워홈, 제조공장 전체 '위험성평가 우수사업장 인정' 획득
- 아워홈, 고객 초청 세미나 '2025 라이트 업 데이' 개최
- 아워홈, 강서노인종합복지관 찾아 500여명 어르신에 배식 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