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손해보험은 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비상 대응 체제를 가동했다고 2일 밝혔다.
KB손보의 ‘혹서기 비상 대응 프로세스’는 손해 발생 정도에 따라 ▲사전 준비 및 예방 ▲초기 관제 ▲현장 관제 ▲비상 캠프 등의 단계로 세분화했다.
단계별 세부 대응책을 살펴보면 사전 준비 및 예방 단계에서는 ▲기상정보 수집·피해 유형 분석 ▲대응 방안 수립·비상 지원 인프라 사전 준비 ▲비상 캠프 운영 장비 사전 준비 등을 통해 기상재해 비상 상황에 대비할 예정이다.
또한 침수가 우려되는 지역의 고객에게 차량 대피를 안내한다. 침수 예상 지역 순찰을 통해 확인된 위험 차량은 ‘긴급대피 알림 시스템’에 등록할 예정이다.
긴급대피 알림 시스템은 집중호우, 태풍 등으로 인한 차량 침수와 고속도로 내 2차 사고 위험에 처한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대피 안내를 제공한다. 지난달 보험개발원, 손해보험협회, 한국도로공사와 손해보험사들이 함께 구축했다.
‘초기 관제 단계’에서는 재해 상황 발생을 대비해 사전 준비한 비상 지원 인프라(견인 차량 등)를 점검하는 등 비상 대응 준비 태세를 갖출 예정이다.
또한 재해 지역 출동·사고 발생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자체와 연계해 정보를 공유할 예정이다. 확인된 사고 현황은 고객들과 공유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장 관제 단계’는 대기 중인 비상 지원 인프라를 재해 지역에 모두 투입해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필요시 피해 지역에 보상 지원 인력을 추가 투입하고, 신속한 보상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비상 캠프 집결지를 확보해 신속한 대응을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비상 캠프’ 단계는 주요 장비와 인력을 비상 캠프에 집중적으로 배치해 피해 차량의 빠른 복구를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신속하고 원활한 보상 처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조해 피해 차량을 충분히 주차할 수 있는 곳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