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연내 5만4450평 규모 통합물류센터 건립
쿠팡, 2027년까지 물류센터 8개 이상 확장
가격 경쟁보다 물류 투자 승산있다고 판단

알리익스프레스 레이 장 한국대표. (사진=연합뉴스)
알리익스프레스 레이 장 한국대표. (사진=연합뉴스)

[핀포인트뉴스 구변경 기자] 국내 이커머스 강자인 쿠팡과 중국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 이커머스 시장을 두고 물류 싸움에 불을 붙이는 모양새다. 알리익스프레스가 공격적인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쿠팡도 맞불 전략을 펴고 있다. 

올해 250조원까지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승기를 가져갈 업체가 누구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알리바바그룹이 먼저 전쟁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알리익스프레스의 모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은 최근 3년간 11억달러(1조5000억원)를 투자한다는 계획서를 한국 정부에 제출했다.

특히 알리바바는 2억달러(약 2632억원)를 투자해 연내 국내에 18만㎡(약 5만4450평) 규모의 통합물류센터(풀필먼트)를 지을 예정이다. 이는 축구장 25개 크기와 맞먹는다. 물류센터가 확보되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배송 기간이 단축돼 플랫폼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쿠팡, 11번가 등 이커머스 업계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는 이유다.

이 같은 알리바바의 투자 계획이 이달 중순께 발표된 후 보름도 안 돼 이번에는 쿠팡이 맞대응에 나섰다.

사진=쿠팡
사진=쿠팡

쿠팡은 3년간 3조원 이상을 투자해 2027년까지 로켓배송 지역을 전국으로 확장하겠다는 투자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통합물류센터를 앞으로 8개 이상 늘리고 배송 네트워크 고도화 등으로 로켓배송 가능 지역을 전국 260개 시·군·구 가운데 182개(70%)에서 230여개(88% 이상)로 늘리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결국 유통업계에선 이들의 '물류 전쟁'이 본격화했다고 보고 있다.

알리는 한국 입점 업체를 대상으로 '수수료 무료'라는 파격 조건을 내거는 등 '초저가'를 무기로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이용자 수 확대로 증명되고 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알리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818만 명으로 기존 2위였던 11번가(736만 명)를 제치고 국내 e커머스시장 점유율 2위에 올랐다.

이에 쿠팡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쿠팡은 지난해 최대 매출과 연간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전통 유통 강자인 롯데와 신세계를 제쳤다. 쿠팡의 지난해 매출은 31조8298억 원으로 이마트(29조4722억 원)를 제치고 업계 최초로 연 매출 30조원 고지를 밟았다. 롯데쇼핑(14조5559억 원), 신세계(6조3571억 원), 현대백화점(4조2075억 원)과는 격차를 더욱 벌렸다.

이런 가운데 쿠팡과 알리익스프레스가 물류 전쟁에 돌입한 배경은 장기적으로 고객을 묶어두고 지속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은 초저가를 내세우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현재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긴 쉽지 않기 때문에 본인들의 강점인 물류쪽을 내세울 것"이라며 "알리같은 경우도 가격 경쟁력에 우위를 갖고 있지만 물류와 배송속도는 약점으로 꼽혀 결국 소비자를 장기적으로 록인(rock-in)할 수 있는 것은 물류라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