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배달앱 포함, 마트·e커머스 업체는 사용 제한
"소비 심리 회복되면 다른 유통채널에도 낙수효과"

정부의 12조 원 규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기준 및 사용처가 구체화되면서 유통업계가 관련 마케팅 준비에 분주한 모습이다. 업계는 바닥을 친 소비 심리가 회복될 수 있을지 기대하는 분위기다.
다만 편의점, 배달 플랫폼 등은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대형마트, 전자상거래(e커머스) 업체들은 소비쿠폰의 사용이 제한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은 이달 21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인당 최소 15만 원의 소비쿠폰 지급이 확정되자 각종 할인 프로모션을 준비 중이다.
GS25는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카드사와 연계해 상품 할인 프로모션과 가전·신선·생필품 등의 기획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CU도 하절기 수요가 높은 주류, 음료, 아이스크림 등 상품 위주로 추가 증정 및 할인 행사를 기획 중이다. 세븐일레븐은 생필품을 중심으로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당시 정부가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했을 당시 편의점 업계는 수혜를 봤다. 예컨대 CU의 경우 재난지원금 지급 후 지역화폐를 통한 평균 결제액이 1만2000원으로 일반고객 평균 객단가(약 5000원)보다 2.4배 증가한 바 있다.
배달 앱도 소비쿠폰 지급에 맞춰 점주와 고객들에게 관련 내용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배달앱에서는 원칙적으로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되지만 가맹점의 자체 단말기로 대면 결제(만나서 결제)하는 경우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사용처에서 제외된 대형마트와 SSM, 백화점 등은 울상을 짓고 있다.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번 소비쿠폰이 비수도권에 한해 식자재마트에서도 사용이 허용되면 대형마트의 매출 피해는 코로나 때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프랜차이즈 업종도 직영점이 아닌 가맹점에서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맹점 비중에 따라 소비쿠폰 효과가 엇갈릴 전망이다.
정부의 이번 소비 촉진 정책이 유통업계의 실적 반등 전환점이 될지 주목되고 있다. 대형마트 업계 한 관계자는 "소비쿠폰이 대형마트에 입점해 있는 소상공인들의 매장에서는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며 "내수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소비쿠폰으로 소비 심리가 살아난다면 다른 유통채널에도 낙수효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