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으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23일 국내 증시에서는 정유, 방산, 해운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지에 대한 증권가의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관련 종목들의 상승세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유주인 중앙에너비스는 전 거래일 대비 24.30% 급등한 2만 42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 초반 상한가로 직행했으나,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상승폭을 일부 반납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번 중동 사태가 유가와 물류 운임에 미칠 영향에 대한 투자자들의 촉각이 곤두서면서, 관련 업종 전반에 걸쳐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흥구석유(17.64%), 한국석유(16.87%), 한국ANKOR유전(23.76%) 등도 일제히 급등했다.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격화하는 가운데 지난 주말 미국이 이란의 핵시설을 공격하면서 이란이 세계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나설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을 직접 타격한 이후 이란 의회는 미국에 대항하는 차원에서 22일 세계 주요 원유 수송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했다. 최종 결정까지는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SNSC) 의결만 남은 상태다.
이날 해운주도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경우 최근 급등세인 해상운임이 추가로 뛸 수 있다는 관측에 급등했다.
HMM은 전장 대비 2.39% 오른 2만3천500원으로 장을 마쳤는데, 장중에는 6.96% 뛴 2만46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흥아해운(15.48%), 대한해운(3.53%), 팬오션(0.64%), KSS해운(0.10%)도 강세를 보였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동 지역 불확실성 확대가 유조선 분야의 단기 운임 상승을 촉발했다. 대체 수입원을 찾기 위한 중국의 노력도 운임 시장에는 긍정적"이라며 "전방 산업인 해운시장에는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