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쇼핑·이마트 주가 동반 하락
온·오프 경쟁 구도로 전환…"타격 제한적"

최근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추진되면서 매출에 직격타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3일 정치권과 업계에 따르면 오세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은 지방자치단체의 자율 결정권을 폐지하고, 월 2회의 의무휴업일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대형마트의 의무휴업일을 평일이 아닌 공휴일 중에서만 지정하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내놨다.
현행 제도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월 2회 의무휴업일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지만 개정안이 통과되면 일요일이나 특정 공휴일에 강제로 쉬어야 한다.
이 밖에도 허영 민주당 의원은 대형마트가 지역 협력 계획을 이행하지 않으면 강제금 등을 부과하는 개정안을, 같은 당 윤준병 의원은 올해 말 일몰 예정인 기업형슈퍼마켓(SSM)의 전통시장 반경 1㎞ 내 출점 제한을 5년 연장하는 개정안을 내놨다.
지난 18일 코스피 시장에서 롯데쇼핑은 7만 4400원에 마감했다. 지난 9일(8만 3100원)보다 10.5% 하락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이마트 주가도 9만 600원에서 8만 2100원으로 9.4% 내렸다.
새 정부 들어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이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면서 주가가 하락한 셈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강제하게 되더라도 대형마트업체들의 실적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하는 시각도 있다.
13년 전 의무휴업 도입 당시와 지금의 소비·유통 생태계는 완전히 달라졌다. 마트와 전통시장이 경쟁하는 게 아니라 온라인 대 오프라인이 대결하는 구도로 바뀌었다. 대형마트가 문을 닫으면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쇼핑을 하는 식이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구매하려는 물품에 따라 다양한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을 활용하는 본인 사례를 들어 "한국 소매유통시장 전체 규모 중 50% 남짓을 온라인 채널이 차지하고 있다. 유통시장의 실질적 강자는 이제 대형마트가 아니라 온라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모든 대형마트 점포의 의무휴업일이 일요일로 전환되더라도, 이미 온라인 배송과 배달음식 등으로 분산된 소비 구조를 감안하면 대형마트 실적 타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진협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통과돼 평일 의무휴업 점포가 모두 일요일에 쉬게 됐을 때 매출 차질은 이마트가 기존 실적 추정치 대비 약 0.8%, 롯데마트가 약 0.6% 수준으로 발생할 것"이라며 "영업이익 단계에서의 영향은 연간 100억~200억원 내외일 텐데, 주말 영업 축소에 따른 주휴수당 등 인건비 감소 영향 등을 고려하면 그 영향은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