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한울 이어 한빛 원전서도 비순정 베어링 납품 확인"
"해당 부품 납품 업체 2곳 경찰 수사 의뢰...모든 원전 점검"
업계 관계자 "원전 마피아들 또 움직였다면 발본색원 필요"

한빛 원전. 연합뉴스TV 캡처.
한빛 원전. 연합뉴스TV 캡처.

한울원자력발전소에 이어 한빛원자력발전소에서도 비순정 베어링이 납품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원전 납품 비리가 12년 만에 다시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를 두고 윤석열 정부에서 '원전 르네상스'를 표방하며 추진해온 원전 중시 정책이 고비를 맞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원전 중시 정책은 전력 수요 증가 및 대안 부재라는 현실론에도 불구하고 6.3 대선을 거치며 원전의 안전 및 환경 문제와 함께 남품 비리가 부각되면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25일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지난 9∼10일 한빛원전에 납품된 베어링 진위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일부 비순정품이 확인됐다.

이 기간 납품된 베어링 314개 중 92개가 비순정품이었다.

해당 비순정품 모두 발전소에 설치되지는 않았고, 자재 창고에 보관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동기를 지지하고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은 소모성 자재로, 발전소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원전 측은 설명했다.

한수원은 지난 4일 한울원전 충전펌프에 설치된 전동기 베어링 가운데 일부가 비순정품으로 납품된 정황을 확인하고, 해당 부품을 납품한 업체 2곳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국내 모든 원전에 대해 확대 점검하고 있으며, 발주, 계약, 인수검사 등 조달 프로세스 전반을 점검하고 있다.

원전비리 사건은 지난 2013년 원전의 부품 납품과정 중 품질기준에 미달하는 부품들이 위조된 시험 성적서로 수년 이상 한국수력원자력에 납품돼오다 적발된 사건이다.

당시 부품 제조업체, 검증기관, 승인기관까지 모두 조직적으로 가담된 것으로 밝혀져 관련자들이 중형을 받는 등 사회적 파장을 몰고 왔다.

에너지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원전 생태계 복원 등 관련 산업 지원을 확대하는 사이 이른바 원전 마피아들이 또 움직인 것 아니냐"며 의문을 나타냈다.

이 관계자는 "수사 당국은 비리가 있다면 발본색원해 탄력을 받고 있는 K원전 수출과 가뜩이나 정치적 논란의 대상인 원전 산업 육성 정책이 영향을 받게 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