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체 상승률 0.25%→0.11%로 하락
강남3구·용산 상승폭 '반토막'으로 떨어져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조치 이후 서울 아파트값의 주간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지난 몇 주간 상승세를 보였던 송파구는 약 1년 1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3월 넷째 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직전 주 상승률인 0.25%와 비교하면 상승폭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토허제 대상 지역이 구 전체로 확대된 강남구와 서초구도 상승세는 유지했지만, 상승폭은 각각 0.36%, 0.28%로 전주(0.83%, 0.69%)의 절반 밑으로 떨어졌다. 송파구는 전주(0.79%)보다 0.03% 내리며 지난해 2월 둘째 주 이후 1년여만에 하락 전환했다.
용산구도 0.18% 올랐지만 전주(0.34%)에 비하면 상승폭이 반으로 꺾였다. 마포(3월 셋째주 0.29%→넷째주 0.21%), 성동(0.37%→0.35%), 동작(0.20%→0.17%), 광진(0.25%→0.15%) 등 주변 지역도 줄줄이 둔화 흐름을 보였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에서 상승 거래가 체결되긴 했으나, 국지적인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가 확대되면서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수도권 전체 가격 상승폭은 0.03%로 전주 대비 0.04%포인트 줄어들었다. 경기 지역은 2주 연속 보합(0.00%)을 기록했으며, 인천은 -0.07%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최근 상승 흐름을 보였던 과천도 3월 둘째 주(0.71%)를 기점으로 상승세가 줄며 이번 주 0.55%를 나타냈다.
지방은 평균 -0.04%로 전주와 같은 수준의 하락폭을 기록했고, 5대 광역시(-0.05%→-0.06%)와 8개 도(-0.02%→-0.03%)는 낙폭이 더 커졌다.

전세시장 역시 지역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올라 전주(0.01%)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서울은 0.07%에서 0.06%로 소폭 둔화됐다. 지방(-0.02%→-0.01%)은 낙폭이 줄어들었고 수도권(0.04%)은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다.
부동산원은 "서울의 경우 역세권과 대단지 등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상승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나 입주 물량 영향이 있는 일부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 가격 하락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