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빨리 상거래채무 결제 포함 모두 정상화"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 기업 회생 신청 직전 기업어음(CP)을 발행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홈플러스는 9일 입장문을 통해 "지난해 신용평가 시 전년 대비 주요 재무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중장기 사업 기반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각종 사업지표 역시 개선되면서 향후 매출 및 영업 수익성이 지속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다"며 "이번 신용평가에서 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재무지표 측면에서는 전년 대비 매출이 약 1000억 원 늘어나 대형마트 3사 중 유일하게 3년 연속 증가한 것은 물론, 2025년 1월 31일 기준 부채비율도 462%로 전년 대비 약 1500%나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지표 측면에서는 2022년부터 선보인 식품특화 매장인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점포 매출이 연 평균 20%나 증가하는 등 대형 e커머스 업체들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위축됐던 오프라인 매장 재활성화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온라인 사업에 대해선 "맞춤 배송과 즉시 배송 등 온라인 배송경쟁력을 대폭 강화하면서 온라인 매출이 1조 5000억 원을 초과하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까지 높아졌다"며 "온오프라인 모든 부문에서 확고한 성장 기반을 구축했다"고 했다.
특히 "멤버십 회원 수가 11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객기반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향후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고 부연했다.
홈플러스는 "재무지표와 사업지표 모든 부분에서 큰 개선이 이뤄졌고 슈퍼마켓 사업 부문의 매각도 진행 중이었던 만큼 이번 신용평가에서 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신용평가 결과 당사 신용등급이 예상과 달리 한 등급 하락함에 따라 단기자금 확보에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협력사와 임대점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긴급히 회생 신청 준비해 휴일이 끝나는 4일 바로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당초 이러한 상황까지 오지 않도록 해야 했으나 이런 결과로 이어지게 되어 깊이 사과드린다"며 "하루라도 빨리 상거래채무의 결제를 포함해 모든 부분을 정상화하고 "기자금 채무를 포함한 금융채무를 회생 계획에 따라 모두 변제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홈플러스 법정관리, 사회적 책임에 관심 없는 사모펀드 MBK
- 홈플러스, 일반 상거래 채권 지급 재개
- 홈플러스 "운영자금 목적 CP·전단채 1880억…정상화 노력"
- 홈플러스 사태에도 고려아연에 올인하는 MBK...이유는?
- 홈플러스 "상품권 전 매장에서 정상 사용 가능"
- 홈플러스, 타이탄 3탄 '스페셜홉 에디션' 선봬
- 홈플러스 "상거래 채권 지급 재개…협력사 불편·불안 최소화"
- 홈플러스 "유동화증권·CP 판매 당사자는 증권사…당사와 무관" 반박
- 기업회생 홈플러스, 채권 지급 여부 '관건'
- 홈플러스 "어음 부도로 당좌계좌 정지…지급 불능 부도 상황 아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