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트 카펠라호, 부산항 남회항 입항...자재 선적 후 시추 장소 출발
'비상계엄' 尹 거취 불투명·野 관련 예산 전액 삭감 속 향후 행방도 '미궁 속'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의 첫 탐사시추를 진행할 시추선이 9일 입항했지만, 갑작스러운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와 '예산안 감액' 등으로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이른바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유망구조를 확인할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는 이날 오전 6시 부산항 남외항에 입항했다.
웨스트 카펠라호는 부산 영도 앞바다 인근인 부산외항에 정박한 뒤, 보급기지인 부산신항으로부터 7∼8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들을 선적할 예정이다. 보급 작업을 마친 이후에는 오는 17일부터 시추 해역으로 출발해 본격적인 시추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정부는 해수면 아래 1㎞ 이상 깊이까지 파고 들어가 시료 암석층을 확보하는 데 2개월 정도가 걸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시료의 암석과 가스 등의 성분을 기록·분석하는 이수검층 (mud logging) 작업은 세계 1위 시추기업인 슐럼버거가 맡았다.
당초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윤 대통령이 지난 6월 긴급 대국민 브리핑을 가지고 직접 개발 의지를 드러낼 만큼 이번 정부의 주요한 정책 과제 중 하나였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사태로 혼란이 이어지자,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이날 웨스트 카펠라호 입항에 대한 공식 보도자료를 내지 않고 사진과 영상 자료만 언론에 배포했다. 윤 대통령의 향후 행방이 미궁 속으로 빠지면서, 대표적인 국정 과제였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역시 동력을 상실하게 될 위기에 처하게 된 모양새다.
시추 예산과 관련된 문제도 남아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내년도 감액 예산안을 단독 처리했고, 이 과정에서 동해 심해가스전 사업의 첫 시추 예산 497억이 전액 삭감됐다.
민주당의 '감액 예산안'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현재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는 석유공사로써는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전체 비용을 부담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와 관련해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은 지난 3일 브리핑에서 "석유공사의 재무 상황이 매우 어렵지만 자체적으로 조달 방안을 마련할 수밖에 없다"며 "여러 난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