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6일 공공기관 경영혁신 회의..이행실적 점검·국감 지적 대책 마련
정원 감축 실적은 2746명으로 목표의 103%...복리후생도 127%로 초과

산업통상자원부 CI.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CI.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공사 등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41개 공공기관들의 자산효율화는 목표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원 감축이나 복리후생비 축소 등에선 목표치를 웃돌아 성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부는 6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 경영혁신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공공기관 경영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2022년 말 공공기관운영회 의결을 거쳐 수립된 '공공기관 혁신계획'의 이행 실적을 점검과 함께 올해 국정감사에서 지적받은 사항 등에 대한 기관별 조치 계획 등이 논의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부처 산하 41개 공공기관의 올해 3분기 기준 누적 혁신계획 이행 실적 점검 결과, 정원조정은 2746명으로 기존 감축계획의 103%(2767)를 달성했다. 퇴직금과 사내대출 등의 복리후생 분야에서도 141건의 개선이 이뤄지며 이행률 127%(111건)을 기록했다.

하지만 부동산 매각 등 자산 효율화 분야 실적은 1조4000억원으로 기존 계획의 66%(2조1300억원)에 그쳤다.  이에 대해 해당 공공기관들은 자산 효율화 이행 노력을 계속하되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올해 국정감사에서 주로 지적된 ▲ 자회사 재취업 ▲ 출자회사 관리부실 ▲ 태양광 겸직 ▲ 각종 기강해이 사건 등에 대한 기관별 개선·재발방지책도 함께 논의됐다. 

이용필 산업부 기획조정실장은 "기관별로 미진한 사항은 최대한 연내 이행을 완료해야 한다"며 "국감 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조속히 개선해 재발을 방지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도록 경영쇄신과 공직기강 확립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2022년 '공공기관 혁신을 통해 질 높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을 국정과제로 선정하고, 공공기관 비대화 및 방만 경영을 방지하기 위한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각 공공기관들은 기능, 조직·인력, 예산, 자산, 복리후생의 5대 분야에서 효율화를 추진하기 위해 공공기관 혁신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