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물가 상승에 '가성비' 노려
MZ세대 직장인 늘어난 것도 영향

서울의 한 GS25 편의점에서 직원이 반찬 상품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GS25 편의점에서 직원이 반찬 상품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냉면과 비빔밥이 1만 원대를 돌파한 가운데 외식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한 끼 부담이 가중되면서 직장인들 사이에선 이른바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도 심화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주문 1시간 내외로 배송해주는 '퀵커머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28일 GS리테일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기준 편의점 GS25의 퀵커머스 매출은 전년 동기간보다 76.1% 늘었다.

도시락을 비롯한 간편식 매출이 90.6% 급증하면서 전체 매출도 성장했다.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은 치킨, 고피자 등의 즉석조리식품으로 매출 증가율이 무려 146.9%에 달했다.

특히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 점심 시간대 오피스(사무실) 상권의 성장률이 눈에 띈다. 해당 시간대 사무공간이 밀집한 지역에 있는 매장의 퀵커머스 매출은 다른 상권 매장보다 36.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간편식 퀵커머스 매출도 상승세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23일까지 주문 1시간 이내 '즉시 배송'을 통한 냉동 간편식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증가했다.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밀키트(17%↑)와 일반 냉장 간편식(10%↑) 수요도 꾸준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 주문 건수가 30%대로 늘며 점심 시간 직장인들의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점심 시간대 오피스 상권의 수요도 눈에 띈다. 같은 기간 서울 강남권의 주요 오피스 상권 가운데 하나인 학동역 인근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점포의 즉시 배송 실적을 분석해보니 밀키트는 157%, 냉동 간편식은 104%, 일반 간편식은 70%의 매출 증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시간대는 정오부터 오후 1시 사이 주문 건수 증가율이 320%로 가장 높았고 오후 1∼2시 사이가 126%로 그 다음이었다.

이처럼 점심 시간대 직장인들 사이에 간편식 퀵커머스가 인기를 끄는 것은 외식 물가 상승 탓이 크다. 또 개인 취향과 시간 활용을 중시하는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직장인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