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주총서 결손금 보전 안건 의결
IPO 재추진 위한 사전 작업 관측도

컬리 배송차량. (사진=컬리)
컬리 배송차량. (사진=컬리)

재무 위기 논란에 휩싸인 컬리가 회계상의 2조원대 결손금을 털어냈다. 이로써 컬리는 재무 건전성 우려를 불식시키게 됐다.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컬리는 23일 김포물류센터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자본잉여금의 결손보전 및 이익잉여금 전입' 안건을 승인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컬리의 자본잉여금은 2조3595억원, 결손금은 2조2708억원이다.

상법(제461조의 2)에 따르면 회사의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할 때 초과 범위 내에서 결손을 해소할 수 있다.

이 규정에 근거해 컬리는 자본금 42억원의 1.5배인 63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2조3532억원으로 결손금을 보전했다. 보전 후 남은 823억원은 이익잉여금으로 전입된다.

컬리가 이처럼 결손금 정리에 나선 것은 티메프 사태를 계기로 결손금을 쌓아두고 자금난에 시달린다는 등 재무 건전성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업계 일각에서는 당장 구체화 되진 않았지만 기업공개(IPO)를 재추진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컬리는 IPO 시장 환경이 급속히 얼어붙으면서 지난해 1월 상장 추진 작업을 잠정 중단한 바 있다.

컬리는 올해 상반기 조정 법인세·이자·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흑자를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에 힘을 쏟고 있다.

컬리 관계자는 "IPO와 관련해서 구체화된 계획은 없다"며 "시장 상황을 계속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실 다지기와 동시에 성장을 위한 신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