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3사, 5만원 미만 선물세트 매출 증가
'짠물소비' 트렌드와 달라진 명절 분위기 반영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고물가와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올해 중저가 추석 선물세트 선호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2∼29일 추석 선물세트 예약판매 실적을 분석한 결과 5만원 미만 선물세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3% 증가했다. 이는 예약판매 전체 매출 증가율(2.6%)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 10만원 이상 선물세트 매출은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저가 선물세트 품목인 가공식품 외에 농축수산 세트도 5만원 미만의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 좋은 상품 구매로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실제 이마트가 운영하는 전체 선물세트 중에서 3만∼5만원 미만 가격대의 매출 증가율이 25%로 가장 높았다. 품목별로 보면 과일이 대부분인 농산 선물세트는 5만원 미만 매출이 47%나 증가했다.

작년과 비교해 사과 가격이 하향 안정화하면서 사과 선물세트의 수요가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가공식품을 제외한 전체 신선식품 선물세트 매출 순위에서도 4만원대 사과 세트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비교적 가격대가 높은 축산에서는 10만∼20만원 미만 가격대 매출 증가율이 20%로 가장 높았다. 수산의 경우 5만∼10만원 미만 세트 매출이 약 30% 늘며 판매가 집중됐다.

전통적인 명절 선물세트 강자인 가공식품도 가성비 상품 선호도가 높았다. 5만원 미만 세트 매출은 3.6% 증가한 반면에 5만∼10만원 미만 세트는 6% 감소했다. 올해 추석 선물세트 예약판매의 전체 매출 1위도 3만원대 식용유·조미료 세트가 차지했다.

롯데마트도 지난달 1∼28일 추석 선물세트 예약판매 매출이 약 5% 증가한 가운데 3만원 미만 가격대 매출이 50%가량 급증했다. 3만∼5만원 미만 선물세트 매출은 5% 늘었고 5만∼10만원 미만과 10만원 이상 가격대는 지난해와 비슷한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3만원 미만 선물세트 중에서는 커피나 햄, 식용유, 김 등의 가공식품 수요가 특히 높았다. 먹거리도 건강하게 즐기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흐름에 맞게 견과류와 차 세트도 인기를 끌었다.

특히 1만원 미만의 김 선물세트는 수산 부문 판매량 1∼2위를 모두 차지할 정도로 강세를 보였다.

홈플러스에서도 가성비 품목의 강세가 돋보였다.

홈플러스는 지난 7월 25일부터 오는 6일까지 진행하는 '2024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이 최대 매출 약 6배 뛰며 호실적을 기록했다. 3만원대 건강 선물세트 매출은 283% 급증했다. 2만∼9만원대 축산 세트와 1만∼3만원대 주류 세트 매출은 각각 37%, 50% 늘었다. 9000원대 양말 세트 매출이 47% 늘어난 것도 눈에 띈다.

고객들의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3만원대 이하 선물을 68% 비중으로 구성하고, 물량을 20%가량 확대한 홈플러스의 전략이 적중한 것으로 풀이된다.

홈플러스 온라인을 활용해 추석 선물세트를 준비한 고객 역시 크게 증가했다. 7월 25일부터 8월 25일까지 32일간 온라인 전체 매출은 37% 신장했고, 특히 3040 고객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고물가 속 '짠물소비' 트렌드와 달라진 명절 분위기를 반영해 차별화된 선물세트 상품을 합리적 가격으로 선보인 것이 주효하며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다"며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판매를 통해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와 취향을 파악한 만큼 이어지는 본 판매에서도 고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세트 구성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