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기관, 보험사기 및 불법개설 요양기관 범죄에 엄정 대응 천명

(왼쪽부터) 정제용 금감원 보험사기대응단 실장, 김준환 금감원 부원장보, 김봉식 경찰청 수사국장, 이복현 금감원장, 윤희근 경찰청장,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 이상일 건보공단 급여상임이사, 김종민 경찰청 경제범죄수사과장, 이윤학 건보공단 요양기관지원실장.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왼쪽부터) 정제용 금감원 보험사기대응단 실장, 김준환 금감원 부원장보, 김봉식 경찰청 수사국장, 이복현 금감원장, 윤희근 경찰청장,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 이상일 건보공단 급여상임이사, 김종민 경찰청 경제범죄수사과장, 이윤학 건보공단 요양기관지원실장.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핀포인트뉴스 임이랑 기자] 금융감독원과 경찰청,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민영보험의 재정 건전성 강화 및 요양기관 범죄 척결을 위해 손을 잡았다.

금융감독원은 11일 오전 경찰청, 국민건강보험과 '보험사기‧불법개설 요양기관 범죄 척결 및 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세 기관은 공‧민영보험의 재정 건정성을 훼손하고 선량한 보험가입자 전체에 대해 피해를 초래하는 보험사기 및 불법개설 요양기관 범죄에 대해 강력하고 엄정한 대응을 천명했다.

특히 최근 보험사기는 단순 개인의 일탈에서 병원 및 전문 브로커가 개입하여 전문화·대형화되는 추세라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예컨대 지난해11월 부산경찰청이 적발한 100억원대 보험사기(보험금 50억원, 건강보험급여 50억원)로 사무장 1명(구속), 의사 2명 등 469명 검거(금감원 및 건보공단 수사의뢰)됐다.

하지만 금감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상호간 정보공유 제한 등으로 공동대응에 한계가 있어 중요사건 공동 기획착수·적발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금감원·경찰청·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의료·보험 전문지식을 악용한 지능적이고 조직적인 보험사기 및 불법개설 요양기관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에 적극 공감하고각 기관의 전문성을 융합하여 민생침해 보험사기 및 불법개설 요양기관 범죄 척결의 대응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자간 협력을 삼각편대로 확대하여 조사·수사 전문성과 인프라를 유기적으로 융합함으로써 민생 침해 보험사기 및 불법개설 요양기관 범죄에 보다 신속하고 진일보한 공동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보험사기는 전문 브로커와 병원이 공모하는 등 그 수법이 지능화·대형화되고 있으며 점차 중대한 사회문제로 확대되고 있다"며 "진화하는 보험사기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유관기관간 원활한 정보 공유 및 각자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연계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