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 車보험 수리비·부품비·진료비 원가지수 시스템 제공...다양한 사례에 확대 적용도

[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AI가 자동차의 보험료를 아껴주는 시대가 도래했다. 특히 AI가 차 수리비를 포함해 부품비 진료비 등의 원가를 시스템화해 수리비 청구 기간이 단축되는 등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보험개발원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AI 원가지수 시스템을 공개했다.

자동차보험 원가지수는 수리비, 부품비, 진료비 등 주요 원가의 변동 추이를 소비자가 이해하기 쉽게 지수화한 지표다.

보험개발원은 AI 원가지수 시스템을 통해 차량 모델등급 제도와 연동, 보험료 산출 과정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험료 인상·인하 요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를 높이고, 적정 보험료 수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중국이 2014년부터 주요 자동차 모델의 신차가격과 개별 부품가격 합계액의 비율을 조사해 발표하며 개별 부품의 평균 가격이 지속해서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며 “이번 시스템은 차량파손 사진을 AI로 인식해 수리비 견적을 내는 'AOS 알파(Automobile repair cost On-line Service-α)'를 보험사에 제공해 보상 업무를 지원하고 소비자 편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보험개발원의 AOS 알파는 정비공장에서 차량파손 사진을 촬영해 올리면 자동으로 수리비를 산정하는 시스템이다. 차량번호 사진을 인식해 자동으로 사고 접수도 한다.

이를 통해 보험사는 산출한 견적과 정비공장에서 청구한 금액 간 차이를 비교해 손해사정을 신속·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적용으로 수리비 청구 기간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AOS 알파가 도입되면 수리비 청구 기간이 기존 평균 4일에서 1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보험개발원의 설명이다.

아울러 보험개발원은 자체 개발한 AI 요율 확인 시스템(KAIRS)을 기존 생명·장기손해보험에서 자동차·일반손해보험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부상하는 온디맨드형 상품의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고, 관련 통계를 수집·분석해 결과를 업계와 공유하기로 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경미한 차량 사고 시 인적 피해에 대한 객관적·합리적 보상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며 “'반려동물 원스톱 진료비 청구시스템(POS·Pet Insurance Claims Online Processing System)'의 고도화도 추진도 그 맥락”이라고 덧붙였다.

이승현 기자 shlee4308@hanmail.net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