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 위축에 국내외 지수↓…국채·금값은 상승세

[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의 전세계적 확산과 공포심리가 작용하며 글로벌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특히 중국발 불확실성이 커지며 투자심리는 위축되는 반면 국채와 금 등 안전자산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요동쳤다.

그동안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오던 뉴욕증시는 지난 21일부터 우한 폐렴 우려로 혼조세를 보이다 24일부터 3대 지수가 모두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불확실성 커진 탓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53.93포인트(1.57%) 내린 28,535.8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1.84포인트(1.57%) 떨어진 3,243.63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75.60포인트(1.89%) 하락한 9,139.31을 기록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가 5거래일 연속 하락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시장 불확실성을 키웠다고 입을 모은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코로나바이러스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워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으로 돌아서고 있다”며 “(우한 폐렴으로) 일부 경제적 충격이 확실히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날 미 국채가격과 금 가격은 강세를 보였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1.60%까지 떨어져 지난해 10월 10일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채권 가격이 올랐다는 의미다. 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0.4%(5.50달러) 오른 1,577.40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3년 4월 이후 약 6년여만의 최고 수준이다.

국내 기업들도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상태다.

같은날 코스피는 2190선이 무너졌고, 원·달러 환율은 급등했다. 안전자산인 금값도 연이어 상승 중이다. 반면에 국고채 금리는 급락하는 등 한국 금융시장도 롤러코스터 국면을 맞이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확산으로 항공운송업계와 면세·화장품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NH투자증권 정연승 연구원은 "2003년 3월 기준 외국인 입국자 가운데 중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 수준이었으나 2019년 11월에는 중국인의 비중이 35% 수준"이라며 "중국인 여객 감소에 따른 외국인 입국자 감소 폭이 (사스 유행 때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연구원은 "작년 3분기 기준으로 중국 노선 매출의 비중은 아시아나항공 19%, 제주항공 15%, 대한항공 13%, 티웨이항공 4%"라며 "일차적으로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이 높은 항공사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승현 기자 shlee4308@hanmail.net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