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온라인 정보량 두자릿수 감소…신세계백화점 정보량 감소 1위 ‘빨간 불’

[핀포인트뉴스=차혜린 기자] 온라인 쇼핑 증가 등의 영향으로 최근 백화점업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눈에 띄게 식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백화점 업계의 맞형격인 신세계의 정보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온라인 중심의 소비 트렌드 변화는 오프라인 매장의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가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NC백화점, AK플라자 등 주요 6개 백화점에 대한 온라인 정보량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백화점의 온라인 총정보량은 1년새 14.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대 백화점의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온라인 총 정보량 분석결과 2018년 4분기 55만1,922건의 관심도는 지난해 같은 기간엔 47만2,009건으로 1년새 7만9,913건 14.5%나 급감했다.

특히 지난해 10~12월 온라인 정보량 순위는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이 톱3를 형성한 가운데 신세계백화점 총정보량이 10만건 이하로 떨어져 눈길을 끌었다.

이어 갤러리아백화점이 3만1천여건대로 4위, NC백화점이 2만1천여건으로 5위, AK플라자가 6위를 차지했다.

6대 백화점의 정보량 변화도 롯데백화점은 지난 2018년 4분기엔 19만8,495건이었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엔 17만5,103건으로 2만3,392건 11.78%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2만446건으로 13.31% 줄었고 신세계백화점은 2만6,694건으로 22.28%나 즐어들면서 절대 건수로는 6대 백화점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NC백화점은 3,519건 13.84%, AK플라자는 7,710건 30.62% 줄었다. 백분율로는 AK플라자가 가장 많이 낮아졌다.

반면 백화점 중 한화그룹의 갤러리아백화점은 1,848건으로 6.29% 늘었다.

소비자 관심도 뿐만 아니라 소비자 호감도도 상당폭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백화점업계 전체 긍정률은 2018년 4분기엔 68.99%였으나 지난해 같은 기간엔 53.49%로 무려 15.50%P나 내려갔다. 백분율로는 22.46% 낮아진 셈이다.

반면 부정률은 같은 기간 4.21%에서 6.60%로 2.39%P 높아졌다. 백분율로는 56.76%나 급등한 셈이다.

이외에도 포스팅에 긍정어나 부정어가 포함되지 않은 중립률은 26.81%에서 39.91%로 13.10%P 증가했다.

백분율로는 48.86% 늘어난 것으로 소비자들은 백화점업계에 대해 유보적이거나 관망하는 자세로 돌아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 관계자는 "백화점 업계에 대한 온라인 정보량 감소는 매장 방문이 줄어서라기보다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관심도 폭증으로 인한 상대적 소외가 한몫하고 있다"며 "중국 여행객 복귀 등으로 인해 정보 감소가 아직까지는 큰 매출 타격으로 이어지지 않겠지만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줄어든다면 문제가 심각해질수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최근 사회 트렌드가 '소확행'을 추구하는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만큼 여행 등 타업종과의 컬래버 마케팅 확대, 먹거리 개발 등 매장내 휴게형 서비스 강화, 빅데이터에 근거한 맞춤형 고객 서비스 제고, SNS 홍보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