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DMA : 미국의 클랜드 홀이 주창하여 1990년대에 대중화된 소비자 행동 모델로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Attention(주목)->Interest(흥미)->Desire(욕망)->Memory(기억)->Action(구매)
* 1990년대 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공중파 및 신문/라디오 중심의 채널 광고 확산으로 대중화된 모델
AISAS
일본의 광고대행사 덴츠가 개발한 소비자 행동 모델로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Attention(주목)->Interest(흥미)->Search(검색)->Action(구매)->Share(공유)
* 2000년대 후반부터 인터넷, 모바일 중심의 채널 광고 확산으로 대중화된 모델
Funnel 이론
소위 깔때기 이론으로 불리는 소비자 행동 모델로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Awareness(인지)->Consideration(고려)->Conversion(전환/구매)->Loyalty(충성/재구매)->Advocacy(지지/전파)
* 조사(리서치) 영역의 Funnel 분석에서도 동일한 기법을 사용한다
- Funnel 분석 : 브랜드 인지부터 ~ 이용 이후 단계까지 각 단계별 고객수를 카운팅하는 것으로, 브랜드 성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각 단계는, 브랜드인지-선호-이용여부-재구매여부-추천여부 순으로 나열되고, 브랜드 인지 고객수를 100%로 설정하여, 이후 단계를 구성비로 표기한다)
CDJ 이론
컨설팅펌 맥킨지가 개발한 모델로 Customer Dicision Journey(고객 의사결정 여정)를 뜻함,
* Initial Consideration(최초고려)-> Active Evaluation(적극 고려)->Moment of Purchase(구매)
->Post Purchase Experience(구매후 경험관리)
* 상기 3개 소비자 행동 이론 대비, 구매전 고려/검색 단계가 훨씬 장벽이 높은 Active Evaluation으로 표현됨. 즉, 적극 고려 단계의 이벤트 또는 트리거(Trigger)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한 모델이다.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