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포인트뉴스=임지혜 기자]

디지털 광고 용어

DA(display advertising)

네이버, 다음등의 포털 및 대형 사이트의 메인화면이나 서브화면에 배너형태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노출되는 광고로, 온라인 광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배너의 위치에 따라 시간당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까지의 광고료로 집행된다. 흔히 배너광고로 불린다.

* Rich Media Ad : 온라인/모바일 기술의 진화에 따라 단순 이미지나 텍스트를 넘어서 동영상, 애니메이션, 시각효과의 상호반응을 통해 고객의 관심을 극대화하는 광고를 의미한다

* Intersticial Ad : 사용하던 app이나 프로그램(개체) 위에 화면 대부분을 가리고 pop up 형태로 노출되는 광고로 floating ad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SA(search advertising) : 네이버, 다음등의 포털 사이트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광고주의 키워드 및 사이트, 제품 등을 최적의 위치에 노출해주는 광고로, 검색광고라 불린다. 다른 경쟁 키워드와의 경합도에 따라 월기준 몇만원에서 몇백만원(월기준)까지의 광고료로 집해된다.(예-네이버의 파워링크, 비즈사이트 등)

브랜드 검색 광고

네이버, 다음등의 포털 사이트에서 특정 브랜드 검색시 해당 브랜드 검색 결과를 최상위로 노출시키고 브랜드의 컨셉, 광고캠페인, 이벤트 등을 패키지 형태로 노출하는 광고를 의미한다

NA(Native advertising)

특정 브랜드의 컨텐츠가, 광고가 집행되는 채널의 컨텐츠와 매우 유사한 환경(context)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예-뉴스에 언급된 기사와 매칭되는 특정 기업의 제품/서비스 광고)로 공중파/Catv의 PPL과 유사

Targetting Advertising

Paid Media 운영사가, 광고주가 원하는 성별/연령/지역/속성(예-유사 이벤트에 참여여부)에 맞추어 해당 고객에게만 노출하는 광고 형태

Re-

Targetting Advertising

: 고객이 특정 액션(상품검색, 가격비교 등)을 진행한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해당 고객 기준으로 동일 제품/서비스를 노출하는 광고 형태. 이미 구매가 완료된 고객에게도 광고가 계속 노출될 확율이 높기 때문에 광고 효율면에서는 산업별로 차이가 있다

CTA(call to action) :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후 광고의 목적에 따라 행위를 완료한 것을 의미 (예-좋아요 클릭, 회원가입, 앱다운로드, 이벤트 참여 등

디지털 광고 분석용어

Impression(노출)

광고가 매체에 노출 되는 횟수로 고객이 몇번 광고를 시청했는지가 아닌 단순 노출을 의미

Reach(도달)

광고를 시청한 고객의 수 또는 비율

* R1, R2, R3...... 형태로 표기하는 경우 각각 광고를 1번, 2번, 3번...... 시청한 고객수 또는 비율을 의미

CPM(cost per mille)

광고 노출 1천회 기준의 단위 비용

CPC(cost per click)

사용자의 1클릭 기준의 단위 비용(예-광고주 홈페이지 링크로 이동)

CPA(cost per action)

지정된 이벤트 완료건 당 단위 비용으로, CPC 보다는 다소 난이도가 있는 행동 (예-회원가입, 앱다운로드, 이벤트 참여, 구매 등)

CPI(cost per install)

앱 다운로드 1건당 단위 비용

CPV(cost per view)

동영상 재생(광고 시청) 1건당 단위 비용

CTR(click through rate)

광고 시청건수 대비 광고주 홈페이지 링크로 이동 등을 위한 클릭 비율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