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우리나라가 지난 7일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 정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열차를 타고 북한을 거쳐 유럽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중국횡단철도(TC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포함해 28만㎞에 달하는 국제노선 운영에 참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OSJD에는 동유럽 국가들이 상당수 가입돼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다른 회원국들과 국제철도화물운송협약(SMGS), 국제철도여객운송협약(SMPS) 등 유라시아 철도 이용에 관한 주요 협약을 체결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추진하는 신북방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지금도 북한만 연결되면 열차를 타고 유럽에 갈 수는 있지만, 우리나라 철도가 다른 나라에 갈 수 있는지는 별개 문제"라면서 "이번 OSJD 가입으로 협의에 따라서 (TCR 등 대륙 철도를) 같이 운영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OSJD는 과거 사회주의 국가 혹은 동유럽 국가 중심으로 이뤄졌는데, 이들 국가 면적이 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부산에서 출발한 열차는 북한을 거쳐 중국(TCR)이나 만주(TMR), 몽골(TMGR) 등으로 나뉘어 이동하지만 이들 노선은 다시 시베리아횡단철도(TSR)에서 만나 유럽에 도달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키르기즈스탄 비슈케크에서 개최된 국제철도협력기구(OSJD) 장관회의에서 대한민국 가입안건이 만장일치로 의결돼 대한민국이 OSJD의 정회원국이 됐다고 7일 밝혔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열린 OSJD 장관회의에서 북한은 반대표를 던져왔지만 올해는 입장을 바꿨다. 4수 끝에 우리나라는 OSJD에 가입하게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