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rgeting AD
타겟팅은 웹사이트에서 목표관중에게 광고메세지를 집중적으로 전달하는 광고를 말한다. 즉, 나이, 지역, 성별 등에 따라 Targeting된 대상에 대해 노출된 광고가 된다.
T&D(Title & Description)개별광고에 사용되는 광고제목, 설명문구, 이미지 등의 광고 소재를 의미한다.
TGIF
4대 글로벌 인터넷기업인 Twitter, Google, iPhone, Facebook을 통칭하는 표현이다.
Tracker
Tracker
Traffic
특정 사이트의 사용자 접속 횟수, 혹은 방문하는 이용자의 수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많으면 ‘트래픽이 높다’라고 하면 사용자가 적으면 ‘트래픽이 낮다’라고 한다.
TRP(target grp)타겟에게 노출된 광고노출율의 합. Target Reach Rate * Target Frequnecy
Three Hit Theory
광고에 최소 3번이상은 노출되어야 광고노출자의 인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Herbert E. Krugman의 이론에서 나왔다.
Takeover
주로 Superstitial, Take Over, Carzy AD와 혼용되어 사용된다.
UAC(User Acquisition Cost)유저 유입 비용을 가리키는 영문 표현이다.
UCC(User Created Contents)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보고 즐기는 글과 사진 위주의 콘텐츠였으나 동영상 콘텐츠로 점점 발전하고 있다.
Unique Click
Click data중 1사람이 중복하여 클릭한 숫자를 제외한 순수 클릭횟수를 말한다.
Unique
Visit
or측정기간중 1회이상 해당 사이트에 방문한 중복되지 않은 방문자. 즉, 특정한 인터넷사용자가 지난달에 특정사이트에 1회 방문하거나, 100회를 방문해도 중복되지 않게 1회 방문한 사람으로 계산한다.
User Session
사용자 세션은 사이트를 떠난 후 20분 정도 안에 다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한 수를 제외한 수치로도 기록이 되기도 한다. 가끔은 사용자 세션이 “visit”나 “visitors” per day로 혼동되어 잘못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 세션이 유니크 방문자보다 사이트의 변동추이를 잘 대변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 세션은 방문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UV(Unique
Visit
ors)일정 기간 동안 특정 사이트에 동일한 사람이 방문한 횟수를 제외한 수치로, 중복되지 않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View
뷰는 크게 PageView
와 AdView
의 뜻으로 나뉜다. 뷰의 수치는 극소수의 사용자들이 페이지의 그래픽 이미지를 끈 상태에서 사이트를 방문하는 수치까지도 포함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Visit
측정기간중 중복으로 방문한 횟수이다.
Wear out
소멸현상. 광고 집중도가 높아지면 광고빈도 또한 비례적으로 증가되어 소비자들이 광고에 싫증을 시키거나 무관심해 지는 현상을 말한다.
ZMOT (Zero Moment of Truth)2011년 구글이 발표한 구매행동과 관련된 개념 매장에 직접 들리기 이전에 일어나는 의사결의 중 가장 중요한 순간을 ZMOT라고 한다.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