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AS
Open AD Stream, 정확한 광고타겟팅과 스케줄링에 따른 캠페인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애드서버로, 국내 M/S1위를 차지하고 있는 리얼미디어의 광고솔루션이다.
O2O(Online to Offline)상대적으로 정보 유통의 비용이 저렴한 온라인에서 홍보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이렇게 이루어진 마케팅 결과를 오프라인 매출에 도움을 주도록 구조화하는 마케팅을 가리킨다.
Opt-in Mail
사용자의 허락을 받은 후에 관련 메일을 송신하는 것. 허락을 받은 후에는 비록 광고이긴 하지만 가치있는 정보만 제공되는 메일 커뮤니티에 해당 광고를 끼워 보내는 광고상품이다.
OTS
매체빈도와 광고빈도의 관계를 밝히는 작업을 말한다.
Pageview
특정기간동안 해당 웹사이트가 열람된 횟수Pageview
는 해당 웹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이용자들이 방문하는가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척도로 활용된다.Pixel
모니터에서 표현되는 길이와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 그림을 구성하기 위한 최소 단위, 픽셀(pixel), 혹은 화소(畵素)라고 한다.
PPC(Pay Per Click)1번의 클릭당 광고주가 지불하는 광고비를 뜻한다.
간접광고다. 영화, 드라마 등에서 배경이나 스토리에 녹아 있는 형태로 자연스럽게 상품을 광고하는 방식이다.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투자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큰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게임, 웹툰, 연극까지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PV(페이지뷰, Page view)홈페이지에 방문한 방문자가 둘러 본 페이지수이다.
QR(QR코드, Quick Response code)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QR코드는 주로 일본,한국,영국,미국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명칭은 덴소 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하였다.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통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한다.
Query(조회수)해당키워드가 검색 사용자에 의해 몇 회 조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Rich Media
리치미디어란 단순한 텍스트나 그래픽을 넘어서 강렬한 색감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자극적이고 매력적인 사운드, 화려한동영상 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메시지를 좀더 “풍부하게” 전달하는 매체를 일컫는다.
OAS
광고 혹은 마케팅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마케팅 비용 대비 매출의 비율을 나타낸 값이다. 광고수익률의 의미를 지니고 있을 때는 ROAS
(Return On Ad Spend)라고 부른다.(매출 / 비용) X 100%
수익률이 높을수록 적은 비용으로 많은 매출을 발생시켰다는 의미가 되므로 효율적인 마케팅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수익률이 높다고 해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이익의 규모이므로 수익률이 높은 경우는 마케팅 비용을 확장하여 수익률이 하락하더라도 이익의 규모를 크게 노리는 것이 정석이다.
ROS(run of site)광고주가 광고를 집행할 특정 영역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매체에서 광고의 영역을 임의로 정하는 것. ROS의 CPM율은 보통 특별한 위치의 광고나 스폰서쉽보다 저렴하다.
RPV(Revenue Per Visit)방문자당 수익을 뜻한다. RPV는 '유입가치'와 같은 의미로 매출에서 방문수(유입수)를 나눈 값이다. 하지만 두 용어를 사용하는 관점은 다르다. 유입가치는 홈페이지 운영, 상품의 구성, 고객 관리 전략등을 통해 동일한 방문객이 유입되었다 하더라도 그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유입가치를 구하는 산출식도 '전환율 X 객단가'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참조, '전환율 X 객단가' = '매출 / 방문수'로 결과값은 같다.)
'RPV'는 주로 광고 상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관점에서 사용된다. 동일한 광고주라 하더라도 어느 광고를 클릭하고 방문했느냐에 따라서 RPV가 달라진다. 대표적으로 DA(Display Ad)와 SA(Search Ad)의 차이를 들 수 있겠는데, SA의 RPV가 DA의 그것보다 훨씬 높다.
Request
인터넷 사이트 방문자가 성공적으로 사이트의 내용을 제공 받는 것을 말한다.
Reach
특정 기간에 적어도 한번 이상 광고캠페인에 의해 노출된 사람의 숫자를 말한다. 즉,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광고가 보여졌는가를 나타냄. 중복된 경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숫자가 클수록 보다 효과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