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포인트뉴스=안세준 기자] LG전자는 6세대 이동통신(6G) 연구 개발의 구체적인 청사진을 공개했다.
LG전자는 대전 유성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연구하는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를 설립했다고 28일 밝혔다.
2030년에 상용화될 것으로 기대되는 6G 통신기술은 100Gbps 이상의 전송속도 구현해 5G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IoT)의 광범위한 적용을 뛰어넘고 사람과 사물, 공간, 데이터, 프로세스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환경 자체가 사물인터넷이 된다는 ‘만물지능인터넷(AIoE: Ambient IoE)’ 시대를 열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스트 인스티튜트(KI) 내에 들어서는 연구센터는 다양한 관련 산학과제들을 수행함으로써 5세대(5G)에서 6G로 이어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반 기술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난 2006년 설립된 KI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발굴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여러 학문 간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개발 부문에서 2016년부터 2년 연속 국가연구개발 우수 성과 10선에 선정됐다.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의 초대 센터장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의 조동호 교수가 맡는다.
조동호 교수는 "한발 앞서 6세대 이동통신 원천 기술 개발을 시작해 10년 뒤의 우리나라 이동통신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산업을 준비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의 경험에서 미루어봐도 한 세대의 네트워크가 상용화 준비에 들어갈 무렵 차세대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다른 국가들도 6G 기술 개발 작업에 착수했다"라며 "나아가 국가안보나 국제 통신시장에서의 발언권 확보를 위해서도 6G에 기반 기술부터 선점하는 것은 매우 필수적인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조 교수는 "6G의 기술적 우위에 따라 보다 빠른 전송속도와 로딩시간 단축, 큰 주파수 대역, 보다 넓은 범위 커버, 보다 높은 자원 이용률 등의 방향으로 정보화사회가 진행될 전망"이라면서 "현재 사용 중인 4G 서비스보다 100배 이상 빠른 속도의 6G는 모든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이른바 ‘만물지능인터넷’ 시대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트라(KOTRA) 관계자는 "올해 5세대 이동통신의 상용화가 예정된 가운데 5G에 이어 6G 서비스에서도 주도권을 잡아 미래 유망산업을 발굴하고 선점하려는 글로벌 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세준 기자 to_serap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