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지난 2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피지컬 AI, 시작은 물류 AI부터’ 세미나에서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은 지난 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물류산업 AI혁신을 위한 국회세미나’에 참가해 물류업의 환경 변화와 기술 진화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피지컬 AI를 통한 물류 AX(AI Transformation) 전략’을 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세미나는 ‘피지컬AI 시작은 물류 AI부터’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더불어민주당 손명수·정진욱·한민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통합물류협회가 주관, 휴머노이드 M.AX 얼라이언스가 후원했다. 행사에는 산업계와 학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물류 분야의 AI 확산과 현장 적용 방안을 논의했다.

CJ대한통운 구성용 TES자동화개발담당은 발표에서 “피지컬 AI는 물리적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고 판단해 행동까지 수행함으로써 물류센터의 자율 운영 체계를 구축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를 통해 물류의 디지털 전환(DX)을 넘어 AI 기반 전환(AX)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피지컬 AI를 물류 산업의 미래 혁신 동력으로 평가하며, 물류 현장이 피지컬 AI 연구·실증의 최적 테스트베드라는 점을 부각했다.

발표에 따르면 물류업은 매일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처리하며 대량의 학습 데이터를 지속 생성한다. 이런 특성 덕분에 피지컬 AI 기술을 빠르게 개발·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피지컬 AI 기반의 물류 AX가 본격화되면 물류 효율화뿐만 아니라 제조·유통 등 물리적 이동이 필요한 전 산업의 비용 절감, 공급망 경쟁력 강화, 배송 서비스 혁신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구성용 담당은 CJ대한통운의 AI 전환(AX) 핵심 전략으로 ▲AI 기반 의사결정으로 ‘지능형 물류센터 구축’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물류공정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배송 네트워크 최적화’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또한 CJ대한통운은 물류 AI 생태계 강화를 위해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 로보티즈·레인보우로보틱스(하드웨어), 에이딘로보틱스(로봇핸드) 등과 협업을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로봇의 ‘두뇌’ 역할을 담당할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위해 리얼월드AI에 지분투자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CJ대한통운 외에도 장영재 카이스트 AI연구소장,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손동신 LG CNS 스마트물류센터 로봇담당위원 등이 발표자로 참여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발표와 연계해 향후 물류 현장의 실증사업을 확대하고 민관 및 업계 간 협력을 통해 피지컬 AI 기반 물류 AX 실현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