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좌진 대표 사임… 30일 내 신임 CEO 선임해야
보안·건전성 악화 속 외부 영입 가능성 부각
대주주 MBK파트너스 중징계·적격성 심사까지 겹쳐

해킹 사태 이후 흔들린 조직을 재정비해야 하는 롯데카드가 새 대표 선임 절차에 착수하면서, 보안 재구축과 건전성 회복, 대주주 리스크까지 복합 과제가 한꺼번에 수면 위로 떠올랐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조좌진 대표가 사임 의사를 밝힌 뒤 대표 승계 절차에 들어갔다.
롯데카드는 21일 임시 이사회에서 조좌진 대표와 김광일 MBK 부회장의 사임 의사를 접수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에는 본부장급 4명을 포함한 고위 임원들이 동시에 사퇴한 후 사외이사 5명 중 3명을 신규 선임했다.
차기 대표이사는 선임 절차가 시작되면 자격 검증, 서류 심사, 평판 조회 등을 30일 내 선임해야 한다. 늦어도 올 연말까지는 빠듯한 일정을 소화해야하는 상황이다.
해킹 사태로 조직 안정성이 흔들린 데다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금융당국 중징계 가능성에 놓이면서, 이번 인선은 롯데카드의 향후 체질을 가를 고비로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내부 승진 가능성과 외부 영입 가능성이 동시에 검토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해킹 이후 신뢰 하락과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고려하면 외부 전문가 기용론이 더 힘을 얻고 있다.
차기 대표의 해결과제는 회원수 감소, 연체율 개선 등이 손꼽힌다.
롯데카드는 개인정보 297만명 유출 이후 회원 수가 8월 대비 10만명 이상 줄었다. 전업 카드사 가운데 유일하게 회원 감소가 발생했다.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만 놓고보면 108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8% 늘어나는 등 선방했지만, 관건은 향후 수익성이다.
같은기간 신용판매와 카드대출 실적이 81조원으로 33.8% 줄었다. 여기에 전업카드사 가운데 유일하게 3분기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35%로 업계 평균(0.73~1.26%)을 크게 웃돌았다.
팩토링 대출 잔액 7020억원 중 연체 발생으로 상반기 대손상각비 239억원이 반영됐고, 홈플러스 회생으로 구매전용카드 대금 600억원도 회수하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대주주 MBK파트너스 문제도 겹쳤다.
MBK파트너스는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첫 사례인 직무정지 중징계를 사전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MBK가 홈플러스 RCPS 구조 변경 과정에서 5826억원 규모 투자자 이익 침해를 문제 삼았다.
징계가 확정되면 MBK는 신규 영업이 제한되고,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출자 철회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금감원은 롯데카드 해킹 사고에 대해서도 전자금융거래법·신용정보법 위반 소지를 검토하고 있다. 최대 6개월 영업정지와 50억원 과징금 부과 가능성이 있는 만큼 대주주 적격성 심사 압박은 더 커진 상황이다.
향후 5년간 정보보호 투자 1100억원을 집행해야 하고, 내년 2월 시행되는 영세·중소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도 수익성 개선을 어렵게 만든다.
해킹 관련 손해배상 소송 가능성도 남아 있어 규제·법적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롯데카드에 대해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자산건전성 관리 부담이 상당하다”며 “가계부채 규제 강화와 소비 둔화까지 겹친 환경에서 수익성 훼손 요인이 해소되지 않으면 불확실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향후 금리 하락으로 이자부담이 일부 경감되겠지만,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간편결제업체와의 경쟁 심화 속에서 상품 수익률 개선과 비용 효율화 등 실질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