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모나리자 소프트 클린 미용티슈 (사진=MSS그룹)
(주)모나리자 소프트 클린 미용티슈 (사진=MSS그룹)

소모품으로 인식되던 생활용품을 바라보는 기준이 달라지고 있다. 기능과 가격 위주로 선택하던 과거와 달리 MZ세대를 중심으로 생활용품을 공간을 완성하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여기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디자인이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다. 티슈, 샤워기, 멀티탭처럼 일상적으로 쓰는 제품도 공간과 취향에 어울리는 감각적 디자인을 갖췄는지가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다.

25일 대학내일 조사에 따르면 라이프스타일 제품 구매 기준으로 기능이 5.54점으로 가장 높았지만 디자인이 5.31점으로 품질과 가격보다 높은 2순위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취향의 서사가 생활 전반으로 확장된 흐름으로, 작은 생활용품 하나에도 ‘나를 드러내는 미감’이 담기며 디자인이 브랜드 경쟁력으로 이어진다고 분석한다.

이 같은 흐름에 맞춰 브랜드들도 감각적이고 미니멀한 디자인을 앞세운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생활위생 전문기업 모나리자는 패턴과 일러스트를 배제한 모노톤 디자인의 소프트 클린 미용티슈를 출시했다. 차분한 컬러로 어느 공간에도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100% 천연펄프와 무색·무향·무형광 원단을 적용해 기능성도 챙겼다. 지분 포집 시스템과 PUSH UP 구조로 실용성까지 더했다.

프리미엄 타월 브랜드 테토와 웜그레이테일은 욕실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단색과 톤온톤 기반 제품으로 높은 가격에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 개당 1만원에서 3만원이 넘는 제품까지 등장했지만 디자인 가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리빙 브랜드 바디럽 역시 13가지 컬러 커버를 갖춘 컬러 샤워기로 욕실 인테리어 시장에 변화를 일으켰다. 개인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생활용품의 범위가 확장되면서 디자인 중심 제품이 새로운 스탠더드로 자리잡고 있다.

모나리자 관계자는 “생활용품은 위생의 영역을 넘어 공간의 무드와 취향을 표현하는 아이템으로 진화했다”며 “소프트 클린 미용티슈는 일상 속 작은 디테일만으로도 집안 분위기를 바꾸고 싶은 소비자에게 적합한 선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