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에도 주담대 금리 역주행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초강력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대폭 축소된 데 이어, 시중은행들이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본격화하면서 대출 창구까지 사실상 닫히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도 주담대 금리가 오르는 이례적 상황까지 겹치면서 차주들의 주거비 부담이 한층 더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5일 금융권과 주택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을 시작으로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주담대 신규 접수를 중단하고 있다. 다른 은행들 역시 유사 조치를 검토하는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6·27 대책과 10·15 대책으로 대출 한도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신규 대출까지 막히면서 주택시장은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뚜렷해지는 분위기다.

10·15 대책에 따르면 규제지역 내 15억 초과~25억원 미만 주택은 최대 4억원, 25억원 초과 주택은 2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대출 문턱이 대폭 높아지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 8326건이던 매매거래는 규제 강화가 본격 반영된 11월 들어(24일 기준) 871건에 그쳐, 신고 기한을 감안하더라도 감소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최근 주담대 금리마저 오르면서 기존 차주들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지난 19일 기준 연 3.63~6.43%로 금리 상단이 6%대를 넘어섰다. 코픽스(COFIX)가 9월부터 두 달 연속 상승한 데다 금융채 금리가 뛰면서 금리 인상 요인이 누적된 영향이다.

특히 2020~2021년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은 차주들은 최근 금리 재산정 시점을 맞아 이자 부담이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규제 강화와 금리 상승이 서민층이 거주하는 외곽·중저가 지역의 수요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과거 금리 인상기에도 현금 여력이 많은 고가 지역보다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의 이자 부담 충격이 훨씬 컸다”며 “서울 외곽과 수도권 6억원 이하 지역을 중심으로 연말까지 수요가 크게 줄어드는 흐름이 뚜렷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