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착수보고회 개최… 대학 맞춤형 평가 모델 논의

광주RISE센터가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성과관리 시스템을 정교화하고 지역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모델 개발에 나섰다.

광주RISE센터(센터장 김보현)는 지난 19일 광주테크노파크에서 'RISE사업 성과관리 체계 고도화 및 자체평가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및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RISE란 중앙정부의 대학 지원 행정·재정 권한을 지자체에 이양하여 지역 주도로 대학을 지원하고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체계다.

RISE사업 성과관리 체계 고도화 및 자체평가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현장. 광주TP 제공. 
RISE사업 성과관리 체계 고도화 및 자체평가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현장. 광주TP 제공. 

이번 간담회에는 RISE사업 참여 대학 사업단장과 성과관리 실무자 등 약 5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RISE사업이 지역 주도 고등교육 혁신 정책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평가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참석자들은 현행 지표 체계의 문제점과 실무적 애로사항을 공유하며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센터는 그동안 지역 대학들의 의견을 반영해 자체 평가 모델을 정비해 왔으며, 이번 논의를 바탕으로 대학별 특성과 다양한 성과 지표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고도화 작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주요 추진 과제로는 대학 특성 반영 평가 요소 보완, 지표 운영의 정확성 및 신뢰도 제고, 안정적인 환류 체계 구성 등이 제시됐다.

광주RISE센터 관계자는 "지역 대학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관리 체계를 마련해 사업 완성도를 높이겠다"며 "표준화와 유연성을 갖춘 평가 모델로 지역 주도 고등교육 혁신 기반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센터는 지난 12일 늘봄학교, 의과대학 혁신지원, 글로컬대학30 등 교육부 주요 이관·연계사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RISE사업과의 협력 및 연계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