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권이 내년 금리 흐름과 부동산 PF 구조조정, 조달 비용 등 복합적인 리스크 요인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 24일 열린 미디어브리핑에서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김형석 본부장은 “금리 민감 업종을 중심으로 조달 부담이 커지고, PF 잔여 사업장의 질적 저하가 금융사 건전성에 영향을 주는 구도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금리 측면에서 “여러 요인을 감안하면 금리 인하는 멈출 가능성이 높다”며 “시장성 자금조달 의존도가 큰 카드사와 캐피탈사가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증권사는 모험자본 확충이 핵심 과제이고, 중소·중견기업 지원 과정의 불확실성이 건전성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 PF 구조조정과 관련해 그는 “총량은 줄었지만 남아 있는 사업장은 지방·비주거 위주”라며 “부실로 넘어가는 비중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된 본PF에서도 요주의로 이동하는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증권사는 위험 노출 규모가 크게 줄었고 완충력을 확보한 상태”라며 “캐피탈·저축은행도 펀드 조성, 정부 지원, 경·공매 및 리파이낸싱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어 단기간의 급격한 충격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은행권 순이자마진(NIM) 전망에 대해서도 “대손비용 증가, 저이자 대출 확대 등이 하향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왔지만 일부 대출금리에 추가 반영된 부분이 있어 내년에도 순이자마진 부담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투자 일임형 자산운용(IMA) 허용이 은행권 자금조달에 미칠 영향에 대해 손정민 무디스 연구원은 “증권사로의 유의미한 자금 이동 가능성은 크지 않겠지만, 은행권 순이자마진에는 일정 부분 압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