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고객언어변환기'로 복잡한 통신 용어 변환...한 달간 4500건 활용

LG유플러스 모델이 AI고객언어변환기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모델이 AI고객언어변환기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복잡한 통신 용어를 고객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는 ‘AI고객언어변환기’ 기능을 고도화했다고 24일 밝혔다.

‘AI고객언어변환기’는 LG유플러스 임직원이 고객에게 안내할 문자메시지, 공지사항, 상담 메시지 등 다양한 문구를 쉽고 빠르게 작성하도록 돕는 사내 서비스다. 초안을 입력하거나 기본 프롬프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고객에게 알리는 문구를 즉시 변환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8월 AI고객언어변환기 1.0을 출시한 이후, 채팅형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도입하고, 버튼 하나로 ‘더 친절하게’, ‘더 정중하게’ 등 톤을 바꿀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지난 10월 2.0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배너, 문자메시지 등 일부 유형에만 제한되던 변환 기능을 전면 확장해 유형 제한 없이 모든 문구를 자유롭게 변환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업그레이드 후 최근까지 4500여건 이상의 문구가 업무 현장에서 사용되는 성과를 거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AI고객언어변환기 2.0은 LG유플러스만의 고객 언어 철학인 ‘진심체’를 학습해 따뜻하고 이해하기 쉽게 바꿔주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VoIP는 종량과금 정책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니 유의 바랍니다.”는 문장은 “인터넷전화는 사용한 만큼 요금이 발생하니 유의해 주세요.”처럼 변환되며, “VAS 중복 적용으로 인한 과납금은 익월 청구서에서 환급 처리됩니다.”는 “부가서비스를 중복으로 적용해 요금을 더 낸 경우, 다음 달 청구서에서 환급받을 수 있어요.”로 바뀐다.

박수 LG유플러스 CX혁신담당 상무는 “향후 고객 반응률과 만족도를 분석해, 이해하기 쉽고 일관된 언어를 AI고객언어변환기에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계획”이라며 “고객 중심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