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대출 규제에 30대 청년층 내집 마련 막혀
생애 최초 매수는 증가…‘지금 아니면 못 산다’ 불안감 반영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들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연령대의 주택 소유율은 역대 최저로 떨어져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여건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1년 새 1만7215가구가 증가하며 201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줄었지만, 2019년부터 6년 연속 늘고 있다. 증가 폭도 해마다 커져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구대, 2023·2024년에는 1만7000가구대로 확대됐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3년째 감소세다. 지난해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 대비 7893가구 줄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무주택 가구가 주택 보유 가구보다 약 2.9배 많은 셈이다.

서울 30대의 주택 소유율도 25.8%로 추락했다. 2015년 33.3%였던 소유율은 2020년 30.9%까지 떨어졌고, 2021년 소폭 반등했지만 이후 다시 하락해 지난해 25%대까지 내려왔다. 이는 30대 가구주 4명 중 3명이 집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의미다.

전국 기준 30대 주택 소유율은 36%로 6년째 하락 중이지만, 서울과는 여전히 1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난다. 서울 집중 현상과 서울 집값의 가파른 상승이 청년층의 자가 마련을 더욱 어렵게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취업·결혼 시기 지연과 1인 가구 증가도 주택 구입 시기 늦춤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데이터처 관계자는 “서울은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높아 자가 비율이 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정부의 올해 초강력 규제 정책과 강화된 대출 기준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청년층 사이에서는 “현금 부자만 집을 살 수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의지는 여전히 높다. 토지주택연구원이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 전세자금 지원(22.3%)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무주택 가구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서울에서 ‘생애 첫 집’을 구입한 무주택자도 최근 4년 사이 가장 많았다.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6개월 동안 서울에서 생애 최초로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빌라)을 매수한 사람은 약 3만5000명으로, 집값 급등기였던 2021년 이후 최대치다. 이 중 20~30대 청년층 비중이 60%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강화 등 정책 변화에 앞서 ‘지금 사지 않으면 더 늦는다’는 불안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